[인천시의회 의정24시-의정MIC] 김성수 시의원 “해양쓰레기, 수거뿐 아니라 예방책 마련해야”

건설교통위원회 김성수 시의원

인천의 바다는 군사적, 영토적, 생태자원의 보고로서 가치가 매우 중요하다. 북방한계선(NLL)과 맞닿아 있어 언제든 일어날 수 있는 우발적 충돌과 접경 지역의 불법 조업 어선으로 인한 수산자원의 피해 등 여러 중요 사항들이 모여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곳에 육지로부터 밀려오는 생활쓰레기와 도서지역에 쌓인 방치쓰레기, 어선으로부터 투기가 의심스러운 각종쓰레기 등이 바다에 쌓여감에 따라 해양쓰레기에 대한 관심은 더 많이 필요하다.

인천시는 해마다 해양쓰레기 없는 깨끗한 바다 조성을 위해 수거활동을 하고 있지만, 노력에 비해 바다환경은 좀처럼 좋아지지 않는 모양새다. 해양쓰레기를 줄이고자 작게는 ‘어구 실명제’ 지도·단속 강화를 통해 어업인의 과다한 어구 사용과 버려지는 폐어구를 막고 있다. 크게는 해양환경정화선인 ‘인천 씨클린호’를 이용한 수거 활동을 하고 있지만 깨끗한 바다 사수가 녹록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시는 올해 인천 앞바다의 해양쓰레기 수거 및 처리 비용 등으로 모두 98억을 투입했다. 약 7천t의 수거를 목표로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시는 지난해 6천589t 보다 400t 이상을 수거하겠다는 각오다.

해양쓰레기는 수거 비용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염분·이물질 등이 들어있어 처리가 까다로울 뿐 아니라 일반 쓰레기에 비해 처리 비용도 과다하게 발생한다. 강화·옹진군 등 도서지역에서는 1t당 약 50만원의 비용이 발생한다. 올해도 처리 비용으로만 연간 30억원이 들어갈 예정이다.

최근 해양쓰레기의 특징은 중국 등에서 버려져 해외 브랜드를 달고 있는 각종 쓰레기들과 부유쓰레기다. 이것들은 바다를 떠돌다 사람이 살고 있지 않은 무인도에 쌓이기도 한다. 이것이 종전 배출 쓰레기들과 더해지면서 그 총량을 감당하기 벅찰 정도로 바다환경이 악화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수거조차 힘든 미세플라스틱이 바닷속 침적쓰레기로 쌓여 오염의 심각성과 생태계의 교란까지도 야기한다.

이렇게 갈수록 늘어나는 해양쓰레기를 감당하려면 전담인력과 도서지역 수거 선박 등이 해마다 더 많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렇게 거둔 해양쓰레기는 수거장비, 집하 처리장 등 기반 시설이 부족해 처리가 어렵다. 아울러 도서지역은 수거한 쓰레기를 장기 방치 하거나 육지로 반출할 때를 놓치는 등 또다른 문제를 낳고 있다. 이것은 작은 쓰레기로부터 시작한 나비효과다.

이제는 해양쓰레기 관련 예산을 언제까지, 얼마나 더 늘려야 하는 고민보다 발생 예방 등 실질적 대책 마련과 움직임이 필요해 보인다. 우리는 인천 바다가 많은 양의 해양쓰레기를 품고 있어 힘들어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해양쓰레기 수거·처리와 더불어 발생 예방에 관심을 갖고 저감 활동을 실천할 때 청정한 인천의 바다를 지켜나갈 수 있을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