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물량 3.339㎢ 중 대부분을 경기도가 회수, 각종 현안사업 차질이 우려된다.
17일 하남시에 따르면 경기도는 지난해 12월 광역도시계획 수립지침이 개정되자 지난 1월 곧바로 시행에 들어갔다.
이로 인해 지난 2009년 2차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에 따라 시에 배정됐던 그린벨트 해제물량 3.339㎢ 중 90.5%를 10년 가까이 활용하지 못하다 경기도에 회수됐다.
시는 이 기간 동안 지역 현안1지구 도시개발사업 0.018㎢(2009년 5월 해제)와 초이공업지역 0.300㎢(2014년 9월 해제) 등 전체 물량 중 9.5% 사용에 그쳤다.
이에 따라 민간사업자 공모를 목전에 둔 지역현안사업 H2 프로젝트(16만2천㎡)와 융복합 미래형 자족단지 조성을 계획한 미군공여지 캠프 콜번(24만1천104㎡) 개발사업 등이 도와 협의를 통해 사용승인을 받아야하는 처지에 놓였다.
풍산 친환경복합단지 조성(0.216㎢)과 초이 친환경복합단지(0.933㎢), 교산신도시에 편입된 H1프로젝트(1.200㎢), H2프로젝트(0.162㎢), 해제취락(0.210㎢) 등도 마찬가지다.
하남시 해제물량은 31개 시ㆍ군에서 그린벨트 해제 필요성에 따라 경기도로부터 제공받아 사용하는 공공물량이 됐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당장 민간사업자 공모 채비를 앞두고 있는 하남도시공사는 도로부터 필요한 물량을 승인 받기 위해 협의에 들어갔지만, 승인일정을 특정할 수 없어 공모 지연도 예상된다.
게다가 도는 그린벨트 해제승인은 국토교통부와 사전협의를 유도하는데다 승인 자체에 소극적 입장을 취하고 있어 필요한 사업물량 확보까지는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교산신도시에 행정력을 집중하다보니 해제물량에 소홀한 측면이 없지 않았다”며 “해제물량 전반에 대해 재검토후 수립하는 절차를 진행나가겠다”고 말했다.
하남=강영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