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점막 손상되면 바이러스·세균 침투
감기·폐렴 잘 걸려… 수분 섭취로 건조함 막고
일교차 대비 보온 신경, 외출 후 구강위생 철저
아침저녁으로 일교차가 큰 환절기가 다가왔다. 날씨도 봄처럼 따뜻했다가 다시 추워지는 등 변덕스럽다. 이럴 때 감기 등 호흡기 질환을 유의해야 한다. 염호기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호흡기내과 교수가 최근 한국건강관리협회 ‘메디체크 건강소식’에 밝힌 내용을 통해 호흡기 건강을 해치는 주요한 요인과 예방책을 알아본다.
■ 충분한 수분 섭취로 건조함을 막아야
겨울철 호흡기 건강을 악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건조함을 꼽는다. 피부가 건조해서 가려움증을 호소하는 이들이 많은데, 이때 호흡기는 더 건조해진다. 호흡기 점막은 항상 촉촉한 점액이 있고, 융단 같은 작은 섬모가 끊임없이 운동을 하고 있다. 건조한 공기를 오래 쐬게 되면 호흡기 점막이 마르게 되어 마치 가뭄에 논바닥처럼 갈라진다. 호흡기 점막이 손상되면 여러 가지 바이러스 및 세균들이 침투하게 되어 상기도 감염(감기) 및 폐렴이 잘 생긴다.
건조한 인체를 촉촉하게 유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충분한 수분섭취이다. 또 환기를 잘하면 실내 습도를 건조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다.
■일정 체온 유지, 건강 지킴에 필수
사람은 항상 일정한 체온을 유지해야 건강하다. 저체온은 인체의 대사과정 전반을 저하시킨다. 반대로 인체는 약 37.5℃까지 고체온을 허용한다. 체온이 38.5℃가 넘어가면 전신 조직의 기능이 오히려 약화된다. 겨울철에는 이러한 체온 유지가 어렵기 때문에 체온 유지를 위해 보온에 신경을 써야 한다.
큰 일교차에 대비하고,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를 가능한 줄이는 것도 중요하다. 실내에서도 가능한 보온이 되는 옷을 입는 것이 난방비도 줄일 수 있고, 기온 차이에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개인위생 철저히 ‘최우선’
겨울철 호흡기 건강을 지키는 것을 간단하다. 항상 몸을 따뜻하게 하고, 건조해지지 않도록 수분 섭취를 잘하는 것이다. 춥다고 운동을 게을리하면 체온 조절이 더 어렵다. 계절에 상관없이 호흡기 감염을 줄이기 위하여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은 언제나 잊지 않아야 한다. 손 씻기를 생활화하고, 기침 예절을 준수하고, 외출 후 구강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계절에 상관없이 호흡기 감염을 예방하는 기본이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