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의 결혼하지 않은 시동생을 부를때 ‘도련님’이라 한다. 결혼한 시동생은 ‘서방님’이라 한다. 또 손아래 시누이는 ‘아가씨’라 부른다. 반면 아내의 손아래 남자 형제를 부를 때는 ‘처남’, 여자 동생은 ‘처제’라 한다. 결혼한 배우자의 형제자매를 부르는 말인데, 남편 집안만 높여 부른다. 조선시대도 아닌데 도련님, 서방님, 아가씨라니…..
시대에 맞지 않는 불평등한 호칭을 고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다. 명절 때마다 정부나 국립국어원, 여성단체 등이 성차별적 호칭 개선을 홍보하지만 나아지지 않고 있다. 시대가 바뀌어도 남성 우위를 강조하는 가족 호칭은 여전하다.
아버지 쪽에는 가까움을 뜻하는 ‘친(親)’을 쓰고, 어머니 쪽은 바깥을 뜻하는 ‘외(外)’를 붙여 표현한다. 친할머니ㆍ친할아버지와 외할머니ㆍ외할아버지로 구분하는데 모두 ‘할머니ㆍ할아버지’로 쓰자고 한다. 장인ㆍ장모, 시아버지ㆍ시어머니도 ‘아버님, 어머님’으로 통일하자는 제안이다. 서방님, 도련님, 아가씨 등은 ‘○○씨’라는 이름을 부르자는 주장이다.
며느리란 표현도 불편하다. 며느리는 기생(奇生)한다는 뜻의 ‘며늘’과 ‘아이’가 합쳐진 말로 ‘내 아들에 딸려 더부살이로 기생하는 존재’라는 의미로 남존여비 사상이 배어있다. 오빠(남동생) 아내를 지칭하는 ‘올케’는 ‘오라비의 겨집(계집의 옛말)’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필종부 문화를 반영한다.
국립국어원이 지난해 새로운 언어예절 안내서인 ‘우리, 뭐라고 부를까요?’를 펴냈다. 안내서는 특정한 호칭이나 지칭어를 반드시 써야한다는 규범적인 틀에서 벗어나 서로 배려하고 자유롭게 소통하자는 취지에서 발간했다. 가족형태의 변화, 수평적 인간관계 추구 등 다변화된 사회 환경에서 언어예절의 유연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반영했다.
국립국어원 등은 결혼한 여성이 본인 부모 집을 가리켜 ‘친정’이라고 하는데, 결혼 여부와 남녀 구분없이 부모님 집을 ‘본가’라고 부르는 방식을 제안했다. 남성 쪽은 집 밖에서 일하고, 여성 쪽은 집 안에서 일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집사람ㆍ안사람ㆍ바깥사람이라는 말 대신 ‘배우자’로 부르자고도 했다. 전통에 얽매인 특정한 호칭이나 잘못된 언어 표현은 타인에게 불쾌감을 준다. 남성, 여성의 차별적 호칭어·지칭어 체계를 바꿔 나가야 한다.
이연섭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