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부터 봄까지 집중적으로 발생, 호흡기·비말 등 통한 전염성 높아
식중독은 고온다습한 여름철 질병이라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노로바이러스가 원인이 되는 식중독은 낮은 기온에서 활발히 움직여 겨울철 더욱 각별한 주의를 해야 한다. 25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매년 평균 52건 발생했다. 특히 날씨가 추워지는 11월부터 봄까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1월~3월 발생 빈도 높아
노로바이러스는 우리 위와 장에 염증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다. 사계절 모두 문제가 되지만 주로 11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나타나는 빈도가 높다. 노로바이러스는 실제 60℃에서 30분간 가열해도 감염력을 유지하고, 영하 20℃에서도 죽지 않고 냉동 냉장상태로 감염력을 수년간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로바이러스는 오염된 물이나 식품 섭취 등으로 감염된다. 어패류 및 오염된 지하수가 주원인으로 분석된다. 또 전염성이 높아 호흡기를 통해 사람 간 전파 감염이 쉽고, 구토물에 의한 비말 감염 등 바이러스 환자의 직·간접 접촉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가 있다.
■어린이, 노약자 등 탈수증상 동반도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평균 24~48시간 잠복기를 거친다. 잠복기가 지나면 메스꺼움과 구토, 설사와 같은 증상들이 나타난다. 이 증상은 보통 2시간에서 많게는 약 60시간 이상도 지속될 수가 있다. 오한, 발열, 두통 및 근육통과 같은 전반적인 신체증상을 동반할 수가 있고, 소아는 구토가, 성인은 설사가 주로 나타난다.
증상이 경미한 경우 일반적으로 2~3일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치료될 수 있지만, 질환에 취약한 어린이, 노약자, 임산부의 경우엔 탈수증상이 동반된다. 합병증 위험도 커 입원치료까지도 고려해야 한다.
■개인위생 철저히 해야
현재로서는 노로바이러스 백신이 없어 예방이 최선이다. 겨울철 개인 위생관리를 철저히 함은 물론이고, 음식을 익혀 먹고, 물을 끓여 먹는 실천을 생활화해야 한다. 화장실 사용 후, 식사 전, 음식준비 전에 반드시 손을 씻고, 음식을 섭취할 때는 음식 재료의 중심부가 85℃ 이상이 되도록 속까지 충분히 익혀 먹도록 한다. 특히 굴, 조개와 같은 어패류나 수산물은 완전히 익혀 먹고, 오염되기 쉬운 지하수는 반드시 끓여 마셔야 한다. 안철민 한국건강관리협회 경기도지회 건강증진의원 원장은 “구토ㆍ설사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음식 조리를 삼가고, 증상이 회복된 후에도 2~3일간은 조리하지 않도록 한다”고 당부했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