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발 꽁꽁 수족냉증...방심하면 큰 병 된다

혈액순환 장애 주요 원인 중 하나
방치 땐 자궁질환 등 발생 가능성
따뜻한 차·족욕 증상 완화에 효과

맹추위가 이어지면서 수족냉증의 고통을 호소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수족냉증은 추위가 느껴지지 않는 기온에서도 손발이 지나치게 차가운 상태를 일컫는다. 가볍게 여기고 방치하면 다른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만큼 적극적으로 치료하고 예방해야 한다.

■ 가볍게 여기면 다른 질환에 노출 위험 커

수족냉증은 혈관이 수축해 손과 발의 말초 부위에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한다. 추위나 스트레스와 같은 정서적 긴장 등의 외부 자극이 주원인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여성, 특히 출산을 끝낸 여성이나 40대 이상의 중년 여성에게 흔히 나타난다. 여성호르몬의 변화가 자율신경계와 혈관의 수축·확장에 영향을 줘 자율신경과 호르몬 대사가 부조화될 때 걸리기 때문이다. 남성들은 운동부족으로 근육량이 떨어질 때 혈액순환의 문제로 수족냉증이 나타날 수가 있다.

수족냉증은 춥지 않은 곳에서도 손발이 차고 시리며, 때로 무릎이 시리거나 아랫배, 허리 등 다양한 신체에서 찬기를 느낀다. 문제는 수족냉증의 증상을 대수롭지 않게 여길 때다.

수족냉증은 레이노증후군이나 류머티즘 관절염, 말초신경질환, 갑상선 저하증 등의 원인 질환에 따라 생길 수 있어 의심되면 다른 질병이 없는지 검사해야 한다. 특히 증상이 있음에도 방치하면 자궁질환이나 뇌졸중, 저혈압, 심혈관계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크다.

이 가운데 혈액순환 장애는 수족냉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다. 수족냉증은 부종, 만성피로, 저혈압 등 뿐만 아니라 여성에게는 생리불순, 불임 등 여성 생식기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 보온혈액순환 되도록 관리해야

수족냉증은 몸을 따뜻하게 하는 생활습관 교정으로 증상을 완화ㆍ예방할 수 있다. 특히 몸 전체의 온도를 높이는 데 주력해야 한다. 몸의 중심 온도가 낮으면 혈관과 신경이 위축돼 말초신경까지 온기가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겨울철에는 추위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방한에 더욱 신경 쓰고 외출하도록 한다. 두꺼운 옷보다 여러 옷을 겹쳐 입는 것이 좋고, 혈액순환에 방해될 수 있는 압박스타킹이나 레깅스, 스키니진은 가급적 피해야 한다. 따뜻한 차를 수시로 마시고, 온수에 20분간 족욕이나 반신욕을 하면 수족냉증 완화ㆍ예방에 효과적이다.

안철민 한국건강관리협회 경기도지부 건강증진의원 원장은 “스트레스가 많아도 수족냉증에 영향을 줄 수가 있다”면서 “혈액순환을 방해하는 음주와 흡연은 피하고, 부추ㆍ마늘 양파와 같은 따뜻한 성질이 있는 음식을 영양 있게 골고루 섭취하면 수족냉증 완화ㆍ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