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2050 탄소중립

이연섭 논설위원 yslee@kyeonggi.com
기자페이지

‘탄소중립(Carbon Neutral)’은 개인이나 기업, 단체 등에서 배출한 탄소를 다시 흡수해 실질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이다.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움직임의 하나로, ‘탄소 제로’라고도 한다. 여기서 탄소는 석유같은 화학연료를 사용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말한다. 온실가스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배출한 이산화탄소 양을 계산하고 배출량만큼 나무를 심거나, 풍력·태양력 발전과 같은 청정에너지 분야에 투자해 오염을 상쇄해야 한다.

탄소중립은 2016년 발효된 파리협정 이후 121개 국가가 ‘2050 탄소중립 목표 기후동맹’에 가입하는 등 세계의 화두가 됐다. 코로나19 사태로 기후변화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의 유엔 제출 시한이 올해 말로 다가오면서 주요국의 탄소중립 선언이 이어지고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화석연료 확대 정책을 뒤집고 최근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이 2050년 탄소 배출량 제로 실현을 공언했다. 유럽연합을 시작으로 중국과 일본에 이어 문재인 대통령도 10월 28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나아가겠다”고 선언했다.

정부와 여당이 최근 당정회의에서 ‘2050 탄소중립’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추진전략을 내놨다. 경제구조의 저탄소화, 저탄소 산업생태계 조성, 국민인식 전환 및 기업참여 등 3대 정책 방향 아래 구체적인 전략 틀을 마련한 것이 핵심이다.

지구환경 보존이라는 대명제와 그 바탕 위에 지속가능한 경제산업구조를 만들려면 탄소 중립화는 필연적 과제지만 그 과정이 쉽지 않다.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와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생산구조는 다량의 탄소배출을 동반한다. 한국은 OECD 회원국 중 온실가스를 5번째로 많이 배출한다. 때문에 다른 국가보다 탄소중립에 더 많은 비용과 노력을 쏟아야 한다. 산업연구원은 철강ㆍ시멘트ㆍ석유화학 등 3개 업종에서만 탄소중립 비용으로 2050년까지 최소 400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했다. 국내 산업계 전체로는 800조~1천조원이 필요할 것이라 했다.

탄소 중립화는 험난하고 도달하기 어려운 도전과제다. 시대적 흐름과 대의를 바탕으로 국민의 힘을 모으고 기업의 동참을 적극 유도해야 한다.

이연섭 논설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