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경강선 ‘경기광주역’→‘광주역동역’ 변경 추진 논란

광주시가 경강선 ‘경기광주역’을 ‘광주역동역’으로 명칭 변경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뒤늦게 알려지면서 말썽이다.

7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3월 경기광주역 역명 개정 추진계획을 보고 한데 이어 같은 달 16~19일 경기광주역 역명개정을 위해 설문 조사한 결과, 역동역(27.7%), 너른고을 광주역(18.4%), 광주역동역(9.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어 지난 4~9월 광주시 지명위 심의를 거쳐 ‘광주역동역’으로 명칭 변경을 결정했다. 설문조사 당시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지만 ‘광주역동역’으로 결정한 것이다.

시는 이후 국가철도공단에 역명 개정을 건의했지만, 시민 의견 수렴결과 등 관련 자료를 보완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이달 중으로는 자료를 보완, 국가철도공단에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 같은 명칭변경 추진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광주시는 정해진 절차를 거쳐 가며 명칭변경을 추진해온 만큼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시민들은 물론, 공무원과 시의회조차 알지 못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비난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과거 실촌읍을 곤지암으로 변경할 때와 중부면을 남한산성면으로 변경을 추진할 당시와는 확연한 차이를 보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시는 명칭변경을 위한 추진위를 발족한 데 이어 시민의견 청취를 위해 수차례 공청회를 열고 설문조사 등을 통해 명칭을 공모하는 과정을 거쳤으나, 역사명 명칭변경과 관련해선 제대로 된 공론화과정은 물론, 시의회에 보고 등의 과정도 없었다는 것이다.

박현철 시의원은 “10여개월이 지나도록 시의회는 물론, 지역 국회의원 2명도 모르고 있었다. 결국 집행부가 시의회와 시민 모두를 패싱시킨 것이다. ‘경기광주’에서 ‘경기’ 자를 뺀다고 정체성이 찾아진다고 생각한 것 자체가 무책임하다. 명칭변경은 철저한 분석과 심도있는 검토 및 공론화과정 등을 거쳐야 한다. 즉흥적으로 추진한 게 광주시에 무슨 도움이 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1천년의 역사를 가지는 ‘광주’의 정체성 찾기의 일환이다. 홈페이지를 통해 공람절차를 거쳤고, 시민 의견도 들었다. 이전부터 광주광역시와 혼동되며 민원이 잦았다. ‘광주’라는 지명을 놔두고 굳이 경기광주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게 적절한지에 대한 의문을 갖고 추진하는 사항”이라고 밝혔다.

한편 광주시의회는 오는 9일로 예정된 제282회 시의회 제2차 정례회에서 광주역명 추진과 관련, 시정 질의할 예정이다.

광주=한상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