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가 행정 수요에 대응하고자 추진한 조직개편안이 시의회에서 부결돼 공무원 증원 등 조직운영에 차질을 빚게 됐다.
6일 안성시에 따르면 시는 2021년 공직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1국 신설과 과ㆍ팀, 통폐합, 명칭 변경을 통한 행정기구 조직개편을 추진했다.
이를 위해 시는 조직진단 연구용역을 의뢰하고 진단된 개편(안)을 시의회에 제출하면서 조례안 조례규칙 심의회 심의와 의회 안건으로 제출 보고했다.
시의회는 지난 3일 시 의장을 제외한 7명의 의원이 특별위원회를 개최해 시가 제안한 조직개편(안)을 심의했다.
시 행정 조직 개편(안)은 본청 3국을 4국으로 하고 22과를 26과로 2 직속기관 5과를 8과, 3 사업소를 1 사업소로 정원 1천13명에서 1천70명 증원 계획이다.
또 기존 행정복지국(9개과)를 행정 안전국(7과) 등 3개국을 복지교육국(6과), 경제도시국(7과), 주거환경국(6과)으로 명칭과 신설을 각각 개편 추진했다.
특히 농업정책과와 축산정책과를 농업기술센터로 통ㆍ폐합 개편하고 문화예술사업소를 신설해 축제 등의 업무를 집중 관리하도록 했다.
그러나 시의회가 이러한 행정기구 조직개편(안)을 심의하는 과정에서 집행부와 수정 등의 협의 없이 부결시켰다는 주장에 휩싸이고 있다.
일부 시의원들이 시 행정 일부 조직 개편(안)에 반대하는 특정 농민들의 민원을 이유로 통ㆍ폐합의 문제로 삼았다는 것이 공직사회의 주장이다. 일부 시의원은 농민들이 축산과 농정 등의 조직을 기술센터로 통ㆍ폐합에 반대하고 본청에 둬야 한다는 민원이 제기됐다고 밝혔다.
조직개편(안) 부결로 시는 행정업무 분담은 물론 공직 인사 차질, 2021년 57명의 공무원 증원 등에 차질을 빚게 됐다.
시의회는 내년 초께 개편 진단서를 재검토해 심의한다는 방침이다.
A 시의원은 “조직 진단이 확실히 결정되면 내년에 다시 특별위원회를 거쳐 집행부가 제안하는 조직개편(안)을 심의 의결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안성=박석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