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평택항 전자상거래 민간통관장 개장 시급… 인천항과 차별 반발

평택항이 해외직구 해상특송화물 반입량 폭주로 전자상거래 거점항만으로 급부상(본보 6월5일자 6면)한 가운데 세관이 이를 담당할 대규모 민간통관장 개장을 외면, 특송업계가 반발하고 있다.

15일 평택직할세관과 평택시, 특송업체 등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개장한 평택항 특송통관장은 개장 초기인 지난 6월 한달간 2천113건에 그쳤던 반입물량이 같은해 12월에는 64만1천169건으로 급증했다.

상승세는 올해도 이어져 지난 5월말까지 총합계는 352만3천132건으로 개항 이후 지난해 8개월분 모두를 합한 150만4천31건보다 2.34배가 더 많았다.

특히 지난 4월에는 119만건으로 86만6천건인 인천항을 추월하기 시작한데다 5월 이후부터는 월 100만건 이상 통관, 전자상거래 허브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물동량이 폭증하면서 통관이 늦어지는 부작용이 발생했다. 관련업계는 통관에 길게는 1주일, 짧아도 4~5일가량 걸리면서 화주나 특송업체 불만이 터져나오고 이들 중 일부는 인천항으로 옮겨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에 평택직할세관은 지난 11일 특송X-Ray 검색기 3대를 추가로 설치를 완료, 모두 6대로 확대 운영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특송통관장 자체가 이미 지정장치장 목적으로 건설이 완료된 시설 안에 장비만 설치한 것이어서 확장성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때문에 평택지역 특송업계는 평택항에 급증하는 물량을 고려할 때 시설과 장비 모든 면에서 크게 부족한데다 하루만에 통관하는 인천항의 민간통관장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며 민간통관장 개장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평택직할세관은 이를 외면하고 있다.

A특송업체 관계자는 “특송화물은 빠른 배송이 경쟁력인데 통관이 늦으면 구매를 포기하거나 취소로 이어지고 업체들도 평택항을 이용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인천항과의 형평성을 위해서라도 평택항에 민간통관장 개장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사)한국해외직구기업협회도 민간통관장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협회는 지난 8월 평택시와 평택항 내 해외직구기업 전용 물류센터 신축 등을 담은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추진 중이다.

평택직할세관 관계자는 “1단계로 X-Ray 검색기를 추가로 설치해 운영하고 있는 만큼 결과를 지켜보고 있다. 민간통관장 허가는 추후에 검토하는 게 순서”라면서 “민간통관장은 마약이나 총기류 반입 등 위험물 관리에 어려움이 있어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평택=최해영ㆍ박명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