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시 농업정책 ‘알찬 결실’] 7년 연속 농정업무 우수기관

수도권 식량자원 보고 ‘우뚝’

여주시가 농정업무 평가 결과, 지난 2014년부터 7년 연속 우수 기관에 선정되면서 쌀산업특구 명성을 높이고 있다. 여주는 전체 인구의 16.8%인 1만8천690명이 농업에 종사할 만큼 도내 농업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도시다. 농산촌도 99.5%에 이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상수원보호구역 등 이중규제 등으로 인한 역차별도 극복하고 있다. 여주시는 수도권에서 질 좋은 농산물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최고의 농업도시라는 자부심으로 다양한 농업정책들을 펼쳐왔다.

■대왕님표 여주쌀의 차별화 전략

세종대왕의 도시 여주시는 대왕님표 쌀을 비롯해 각종 반찬의 재료가 되는 채소작물, 버섯과 같은 특용작물 등 농작물 재배환경에 맞는 맞춤형 지원사업으로 적재적소에 사업비와 인력 등을 편성했다.

여주 농업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대왕님표 여주쌀의 높은 품질과 인지도 제고 등을 위해 ‘진상벼’를 품종으로 전국 최초의 쌀산업특구답게 고품질 쌀생산을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다.

통합 RPC(Rice Processing Complex:미곡종합처리장)를 통해 수매와 가공 판매까지 통합 시스템으로 일괄 처리하고 차별화를 위해 내년에는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s:농산물우수관리제도) 재배단지를 조성했다. 3천800여㏊에서 6천670여㏊로 지원을 확대하고 사업비 34억원을 투입했다.

이밖에도 품질 좋은 쌀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병해충ㆍ맞춤 비료ㆍ예비 못자리ㆍ볍씨 발아기ㆍ육묘장ㆍ기기장비 구입ㆍ농업용 무인방제기 등을 지원하고 색다른 볼거리인 유색벼 논그림을 통해 차별화된 홍보도 병행하고 있다.

▲ 01-%20농업은%20여주시의%20오래된%20블루오션,%20경쟁력%20키운%20노력%20빛났다%20(2)

■고구마와 가지 등 선택형 맞춤 농정 지원사업으로 경쟁력 제고

여주 농산물의 품질과 맛이 유독 뛰어난 이유는 적당한 강수량과 온도, 남한강의 풍부한 수자원 등을 비롯해 자연재해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최적의 환경으로 고구마와 가지, 땅콩, 참외 등 밭작물은 최고의 품질을 자랑한다.

특히 고구마는 전국 최대 주산지로 동글동글한 모양과 빛깔이 좋고 꿀맛이 나 각광받고 있다. 전국 생산량의 25%를 차지하는 여주 가지도 선명한 보랏빛에 안토시아닌과 폴리페놀 등이 풍부해 혈액순환 개선과 암 예방 효과에 도움을 주는 건강채소로 사랑받고 있다.

여주시는 맛 좋고 건강에도 좋은 고구마와 가지 등을 선택형 맞춤 농정 지원사업 대상 작물로 선정하고 육성하고 있다.

여주가지오이연합회와 여주고구마연합회 등에 20억8천900만원을 지원하고 중형지게차와 농산물 건조기, 환풍기, 저온저장고, 고구마 세척기 등 필요한 장비를 갖출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유기질비료와 칼슘 유황 비료 지원으로 병충해를 예방하고 안정적인 생산을 유도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묘센터’를 통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우수한 모종을 농가에 공급하고 품질 향상과 30% 이상 수확량 증대로 농가소득에도 이바지하고 있다.

▲ 01-%20농업은%20여주시의%20오래된%20블루오션,%20경쟁력%20키운%20노력%20빛났다%20(3)

■신활력 플러스사업으로 농업가치 창출.

여주시는 그동안 규모화ㆍ기계화 등 하드웨어에 치중했던 농업정책에서 농업가치를 창출하는 소프트웨어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

경기도내 최초로 조례를 제정하고 추진한 농민수당 지원사업과 신활력 농촌 플러스사업 등이 대표적이다.

시는 농민수당 지원사업으로 관련 예산 66억원을 책정하고 올해 처음으로 농업인들에게 지급, 경기도 농촌기본소득 모델이 되기도 했다.

농림축산식품부 공모 사업인 신활력 플러스사업에도 선정돼 5년 동안 70억원을 투자하고 물적·인적 네트워크를 구성해 농업을 선도해 나가는 한편 푸드플랜사업을 통해 생산과 소비가 톱니바퀴처럼 돌아가면서 여주 행복공동체의 중요한 동력을 키워내고 있다.

또한 미래 먹을거리로 주목받는 곤충산업도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고 여주의 대표 축제인 오곡나루축제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농특산물축제로 발전시켜 나가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항진 시장은 “농업은 단순히 먹을거리만 생산하는 산업이 아니라 자연환경 보전과 생물 다양성 등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기후변화에도 대응하는 생명산업이다. 여주시가 오래된 블루오션인 농업가치를 더욱 높이고 수도권 식량자원의 보고(寶庫) 역할을 충실히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여주=류진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