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혈관 동맥류 있으면 ‘뇌동맥류’ 가능성 20배 높다

아주대병원 송지혜·임용철 교수팀, 뇌동맥류 예측 위험요소 연구 발표

뇌동맥류는 뇌혈관 벽 일부가 약해져 풍선 혹은 꽈리처럼 부풀어 오른 상태를 말한다. 기온 차가 클 때 등 혈액 압력에 의해 언제 터질지 몰라 머릿속 ‘시한폭탄’으로 불리기도 한다. 혈관이 터지면 3분의 1이 사망에 이를 정도로 위험하지만, 혈관이 터지기 전까지 전조증상이 없어 미리 발견하는 것이 어렵다. 이런 가운데 뇌동맥류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위험요소에 대한 연구결과가 발표돼 주목된다.

2일 아주대병원에 따르면, 신경외과 송지혜ㆍ임용철 교수팀이 분석한 결과 전신질환 동맥류 환자의 4분의 1가량이 뇌동맥류를 동시에 갖고 있었다. 분석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된 환자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백만 명가량의 표본 데이터 상에서 한국 질병 분류 코드를 이용해 뇌동맥류 환자군과 다른 전신질환 동맥류 환자군으로 나눴다.

다른 전신질환 동맥류 환자군은 1천17명이었고, 이들 중 25.7%(261명)에서 뇌동맥류를 동시에 동반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다른 전신혈관 동맥류가 없는 환자군 111만 2천639명에서는 0.6%(6천780명) 만이 뇌동맥류가 확인돼 큰 대조를 보였다. 특히 성별, 나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관련 인자들을 보정해 분석한 결과, 다른 전신 혈관 동맥류가 있는 환자는 뇌동맥류의 유병률이 정상 인구보다 20배 정도 더 높았다.

다른 전신혈관 동맥류 환자군에서 뇌동맥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이 이상지질혈증이 있는 경우는 약 8배, 고혈압이 있는 경우 6배, 당뇨가 있는 경우 3배 정도 더 높았다.

송지혜 교수는 “뇌동맥류는 일단 터지면 생명을 위협하거나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가능성이 커 미리 발견하여 개두술 혹은 색전술로 치료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하면서 “이번 연구가 뇌동맥류의 발생을 미리 발견할 수 있는 선별검사와 치료를 위한 근거자료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