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중 파주에서 단지 마을 유지라는 이유로 죄없는 양민들이 희생된 사실이 확인됐지만 진실규명 작업에서 상당수 희생자들의 명단이 누락돼 추가 전수조사 등이 시급하다.
제1기 진실ㆍ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위원회) 활동기록을 보면 1950년 9월께 파주 두포리 방공호에서 100여명 가까이 집단으로 학살당한 것 외에 비슷한 시기 천현면(현 법원읍)에서도 학살된 사실이 추가로 밝혀졌다.
북한군 점령지였던 천현면 동문리 L씨 일가족 희생사건으로 L씨와 사돈, 동생, 며느리 등 모두 4명이 지방 좌익세력에 의해 집 주변 밭으로 끌려가 무참하게 총살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유족들은 이 같은 참혹한 사실을 세상 밖으로 드러내지 못한 채 숨 죽이며 살아왔다. 일부는 한을 품으며 세상을 떠났다.
그러다 위원회의 조사로 L씨 일가족은 민간인 학살 희생자로 뒤늦게 공식 인정받아 진실이 규명됐다. 학살된 지 60년만인 지난 2010년 6월15일 L씨 등의 명예회복이 이뤄진 것이다.
파주 두포리 학살자로 잘 알려진 S씨와 K씨 등 2명도 위원회로부터 당시 북한군에 의해 희생된 것으로 공식 인정받아 명예가 회복됐다. 하지만 S씨 등 피해 유족들이 위원회에서 파주 두포리 학살터에는 민간인 90여명이 북한군에 의해 학살됐다고 진술했으나 진실규명 작업에선 제외됐다.
L씨 일가족 등을 총살했던 세력은 북한군과 지방 좌익세력들로 어처구니없게도 L씨 등이 면장과 이장, 형무소 직원 등 지역유지와 그의 가족이었다는 점이 희생된 주된 이유였다.
무엇보다도 1952년 공보처 통계국이 작성한 ‘6ㆍ25전쟁 피살자명부’에 1기 위원회가 진실 규명한 L씨 가족 중 2명과 파주 두포리 학살사건 희생자들이 대거 빠지면서 호적까지 멸실, 전수조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조인연 파주시의회 부의장은 “100여명 가까이 희생된 파주 두포리 학살자 상당수가 시신이 수습되지 않아 정부 통계에서 누락됐다. 심지어 당시 위원회가 희생자로 인정했던 L씨의 사돈과 며느리 등도 정부의 6ㆍ25전쟁 피살자 명부에 없다. 역사적 미아인 셈”이라며 “유족들이 고령인 점을 감안, 2기 위원회가 전수조사를 펼쳐 역사를 바로 잡는 등 제도적 기록화작업이 필요한 때”라고 주장했다.
파주=김요섭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