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탱크에 보관 중인 방사성물질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기로 했다. 국제사회와 주변 국가뿐 아니라 일본 내 강한 반대 여론에도 바다 방류를 강행 방침이다. 일본 주요 언론은 최근 “정부가 후쿠시마 오염수 방사성물질의 농도를 낮춘 뒤 바다로 방류해 처분한다는 방침을 굳혔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후쿠시마 제1원전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폭발 사고로 가동이 중단돼 폐로작업이 진행 중인데, 핵연료 냉각수 및 지하수와 빗물 등 오염수가 늘고 있다. 매일 160~170t씩 발생한다.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이를 정화장치로 처리 뒤 부지 내 탱크에 보관하고 있는데 지난 9월 기준 그 규모가 123만t이다. 저장용량이 한계에 이르는 데다 마땅한 대안이 없다는 이유로 오염수를 해양 방류하기로 했다.
오염수가 방류되면 해류를 따라 필리핀, 일본, 러시아, 미국 캘리포니아, 적도 등 태평양을 한 바퀴 돌아 이르면 1년 내, 늦어도 2년 후에는 동해로 유입된다. 한반도 주변을 포함한 대양환경 오염이 불 보듯 뻔하다. 이로 인해 국민건강 위협은 물론 한국산 수산물에 대한 신뢰가 하락해 어민 생존권까지 위태롭게 할 수 있다.
도쿄전력은 오염수 1천t을 2차 처리해보니 주요 방사성물질이 기준치 미만으로 떨어졌다고 했다. 하지만 2차 정화 결과는 전체 오염수 중 극히 일부고, 구체적 정보도 공개되지 않아 검증이 필요하다. 또 오염수를 재처리해도 삼중수소(트리튬)라는 방사성 물질이 남긴 하지만 희석해 방류하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고 주장하는데 삼중수소는 음식이나 공기를 통해 몸속에 소량이라도 들어갈 경우 세포 손상이나 변형을 일으켜 각종 암을 유발한다.
일본 정부는 자국 내 지자체와 어업단체까지 반발하는 오염수 해양 방출의 위험성을 직시해야 한다. 오염수 방류 계획을 중단하고 국제사회가 수긍할 수 있는 합리적 대안을 내놔야 한다. 그린피스는 ‘장기 저장’을 제시한 바 있다. 우리 정부는 국민 건강과 안전이 달린 만큼 일본에 강력하고 단호한 입장을 전달해야 한다. 또 오염수 방류 피해가 예상되는 국가들과 공조하고, 국제원자력기구 등 국제기구에도 적극 개입을 요청하는 등 전방위적 외교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이연섭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