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항 미래전략사업인 전자상거래를 활성화 하기 위해선 ‘민간통관장’ 설치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평택시가 주최ㆍ주관하고 평택항발전협의회, 평택항활성화촉진협의회, 평택ㆍ당진항포럼 등이 후원한 가운데 포승근로자복지회관 열린 ‘평택항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해상특송 발전방안 워크숍’에서 참석자들은 이처럼 건의했다.
이동현 평택대 교수는 ‘평택항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해상특송 발전방안 검토’ 제목의 주제 발표를 통해 “지난해 중국에서 한국으로 수입된 물품 금액은 6천600여억원인 반면 한국에서 중국으로 수출한 물품 금액은 5조1천600여억원에 이른다”며 “대(對)중국 전자상거래의 성장은 역직구가 주도하고 있다”며 이처럼 밝혔다.
이어 “평택직할세관의 통관장 확대 운영과 민간기업이 운영하는 자가통관장은 비용과 서비스 측면에서 우월하다는 평가를 받는만큼 평택항 활성화 촉진과 항만의 지역경제 기여 및 효과 등을 위해서라도 자가통관장 구축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자가통관장 구축 시 직접고용과 간접고용을 합산하면 348명의 고용효과와 함께 360억원의 직접매출, 1천188억원의 간접생산유발효과 등이 나타난다”며 “평택항을 전자상거래 특화구역 지정 추진과 전자상거래 국제물류센터 구축 등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기철 평택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한 토론회에서 이윤재 국민의힘 유의동 국회의원 보좌관은 기업인들의 각종 고충을 지적하고 전자상거래 활성화와 정부 예산 절감, 이용료 절감 등을 위해 민간통관장 운영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재영 더불어민주당 홍기원 국회의원 보좌관도 통관시간 단축을 위해 민간통관장 운영 필요성과 함께 평택직할세관의 조직ㆍ인력 확충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워크숍에선 평택항발전협의회, 평택항활성화촉진협의회, 평택ㆍ당진항포럼 등 평택항 관련 3개 시민단체들이 자가통관장 설치 촉구 등을 담은 공동협약서에 서명했다.
평택=최해영ㆍ박명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