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현미 의원 7분 자유발언에서 주장
화학물질 사용량 전국 6위인 평택시가 화학사고 대비 체계 구축을 서둘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평택시의회 권현미 의원은 9일 열린 제217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화학사고 대응 지역대비체계 구축 더 이상 미룰 수 없습니다’라는 주제로 자유발언에 나섰다.
권현미 의원은 최근 전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항에서 발생한 초대형 폭발사고를 언급하면서 “평택시가 화학사고에 대한 대응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방안과 매뉴얼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권 의원에 따르면 지난 2017년 현재 평택시에서 화학물질을 다루는 공장이 약 190여개가 있으며 이는 화학물질 사용량에서 전국 6위를 차지하는 등 화학물질로 인한 사고 등에 대한 대비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권 의원은 “시는 2017년 환경부와 함께 진행한 ‘화학사고 대응 지역대비체계 구축사업’을 추진해 기대를 모았으나 3년이 지난 지금 평택시 화학사고 대비체계는 아무런 진전이 없다”고 지적했다.
권 의원은 또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옛 속담처럼 실수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면서 “시 집행부는 이제라도 화학물질을 다루고 있는 기업들과의 진정성 있는 소통을 통해 화학사고 대응 지역대비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 의원은 이를 위해 ▲화학사고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담은 매뉴얼 마련 ▲화학물질을 다루는 기업과 소통을 통한 내실있는 ‘안전관리위원회’ 운영 ▲평택시 주거형태ㆍ화학물질 정보와 대피장소ㆍ책임자ㆍ연락망 정비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권현미 의원은 “화학사고 정보에 대한 시민과 기업, 지자체 간에는 신뢰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면서 “만일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구축하는 것은 산업도시로 팽창하고 있는 평택시가 마땅히 해야 하는 일 중의 하나”라고 강조했다.
평택=최해영ㆍ박명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