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8일 개통한 지하철 5호선 하남선이 애초 예상했던 수송인원의 기대치를 크게 밑돌아 운행에 따른 하남시의 재정부담이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8일 하남시가 서울교통공사를 통해 확인한 하남선 수송인원에 따르면 개통 후 지난달 10일부터 23일까지(14일간) 하루평균 승객은 1만1천여명(미사역 7천800여명ㆍ풍산역 3천200여명) 정도다.
반면, 하차의 경우 미사역 8천여명, 풍산역 3천500여명 등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수송인원은 연간 140억원의 운영적자를 기준으로 한 승객(미사역 1만2천500여명ㆍ풍산역 2천500여명)과 비교할 때 풍산역은 기준치를 웃돌고 있지만, 하남선의 중심인 미사역은 되레 4천700여명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에 연간 140억원의 운영적자를 기준한 승객은 유료승차를 전제로 하고 있어 승객 중 65세 이상 노인 무임 승객들은 포함하면 적자폭은 더욱 늘 것으로 보인다.
현재 풍산역 승객 중에는 연말 개통을 앞둔 하남시청역과 검단산역 승객들이 상당수를 차지, 내년부터는 풍산역 승객들도 크게 줄 것으로 예상된다.
하남선 승객이 예상치를 크게 밑돌자 시는 대응책 마련에 신경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연간 140억원의 운영적자를 고려했으나 실제 운행상황으로 볼 때 적자 폭은 더 증가할 수 밖에 없는 처지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연간 140억원 이상 적자 예상이 불가피해 보인다. 하남선 적자 원인은 설계상 기본계획 승객의 40% 정도만 이용하는데다 코로나19로 전반적으로 승객이 저조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하남선 적자에 대한 대책ㆍ방안으로 역세권 활성화를 통한 승객 증대는 몰론 상가개발 등 부대사업 추진, 운영경비 절감 등 다각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하남=강영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