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의협도 합의문 서명…집단휴진 사태 해결 국면

정부와 의료계가 의과대학 정원 확대 및 공공의대 신설 추진을 중단하고 코로나19 상황이 안정화된 뒤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협의하기로 최종 합의했다.

의료계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 이어 정부와도 협상을 타결함에 따라 2주 넘게 계속된 집단휴진 사태는 해결 국면을 맞았다. 다만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가 강력히 반발하고 있어 전공의들의 진료 현장 복귀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보건복지부와 대한의사협회(의협)는 4일 오후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의대 정원 확대 및 공공의대 신설 추진 중단, 주요 보건의료 현안을 논의할 ‘의·정협의체’ 구성 등을 골자로 하는 5개 항의 합의문에 서명했다.

서명식에는 박능후 복지부 장관과 최대집 회장이 참석했다. 이날 서명식은 오전 11시로 예정돼 있었으나 두 차례 시간과 장소 변경 끝에 결국 오후 서울청사에서 이뤄졌다.

양측은 합의문에서 “복지부는 의대 정원 확대, 공공의대 신설 추진을 중단하고 코로나19 안정화 이후 의·정 협의체에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의협과 협의한다”고 밝혔다.

양측은 또 “의협과 더불어민주당의 정책 협약에 따라 구성되는 국회 내 협의체의 논의 결과를 존중한다. 의대 정원 통보 등 일방적인 정책 추진을 강행하지 않는다”고 약속했다.

이와 함께 양측은 의료인 보호, 의료기관 지원에 대해서도 의견을 모으고, 합의문에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긴밀하게 상호 공조하며 특히 의료인 보호, 의료기관 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해 시행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이로써 그간 극한 대립 속에 최악 수준으로 치달았던 정부와 의료계 간의 갈등은 전공의들의 내부 반발이 있긴 하지만 2주 만에 해소될 수 있게 됐다. 의협은 합의문에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진료현장에 복귀한다”는 점을 명시했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협약식에서 “그동안 국민들께 걱정과 불편을 끼쳐드려 진심으로 송구스럽다”면서 “코로나19 대응에 역량을 집중하고 대화와 협의의 장으로 들어오기로 한 대한의사협회의 결정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