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29일로 임기를 마쳤다. 7선 국회의원에 참여정부 국무총리를 지낸 ‘친노 원로’이자 재야운동권 대부인 이 대표의 2년은 당대표에 출마하면서 내세운 ‘20년 집권, 100년 정당’, 정권 재창출이라는 소명을 완수하기 위한 여정으로 요약된다. 그의 독선적 리더십은 21대 총선에서 180석 압승을 이끌었다는 평가와 함께, 당내 언로를 막아 다양한 의견을 위축시켰다는 비판이 따랐다. 당내 입단속을 중시했지만 정작 본인은 여러 설화에 휘말렸다.
며칠 전 이 전 대표는 국가인권위원회로부터 ‘장애 비하’ 발언으로 인권교육 권고 조치를 받았다. 지난 1월 민주당 유튜브 채널 ‘씀’에서 “선천적인 장애인은 의지가 약하지만 사고로 장애인이 된 분들은 ‘정상적’으로 살던 것에 대한 꿈이 있어 의지가 강하다”고 말해 논란을 빚었다. 장애를 ‘비정상’ 상태로 규정한데다 선천적 장애인에 대한 차별적 인식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논란이 일자 민주당은 이 영상을 삭제했다. 2018년 12월엔 당내 장애인위원회 행사에서 “신체 장애인보다 더 한심한 사람들” “정치권에는 정상인가 싶을 정도로 정신 장애인들이 많이 있다” 등의 발언을 했다.
장애인 차별과 혐오를 조장하는 정치권의 막말 논란이 종종 있었다. 생각없이 툭, 던진 말들은 장애로 고통받는 이들의 상처에 소금을 뿌리는 격이자 인권침해다. 지난해 8월엔 황교안 전 통합당 대표가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 미사일 도발에 벙어리가 돼버렸다”고 말해 비난을 샀다. 이에 홍준표 의원은 “달을 가리키니 손가락만 쳐다보는 외눈박이 세상”이라며 말을 보탰다. ‘벙어리’와 ‘외눈박이’는 모두 장애인차별금지법이 금지한 차별 표현이다. 인권위는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의 “절름발이 총리”, 황교안 전 대표의 “키 작은 사람은 (투표용지를) 자기 손으로 들지도 못한다”는 발언에 대해서도 조만간 결론을 내릴 예정이다.
정치인의 말은 언론에 그대로 옮겨지는 만큼 파급력이 크다. 여당 전 대표에 내려진 인권교육 조치는 정치권 인사들의 잇단 장애 차별·혐오 발언에 대한 경고다. 장애인 인권교육을 강화해 정치권에서 더 이상 장애인 비하 발언이 나오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연섭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