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나비의 작은 날갯짓이 위대한 훈풍 일으키길

나비효과는 나비의 작은 날갯짓이 지구 반대편에서는 태풍 등 예상치못한 큰 날씨변화를 가져올수 있다는 내용으로 당초 과학이론이었으나 오늘날에는 각종 글로벌 경제에서의 미국 등 경제대국의 사소한 경제흐름 변화에도 전세계가 충격을 받을 수 있다는 원인 설명 등 각종 사회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물론 이 이론 자체는 가치중립적 이론이지만 나는 이 이론이 코로나19로 고통을 겪고있는 온 국민들에게 작은 소망이자 선한의지가 모여서 위대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로 기억되기를 바란다. 당초 여름이 되어 기온이 올라가면 코로나19가 진정세를 보일것이라는 견해도 있었으나 최근의 확진자 발생추이와 지역분포 등을 감안해 볼 때 올해 말을 넘어 내년까지도 지속되리라는 전망도 많이 나오고 있어 걱정이다.

하지만 여기에 더해 이제부터 우리는 코로나19로 촉발된 경제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힘겨운 생존투쟁을 겪어야 한다. 특히 상대적으로 대응여력이 취약한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전통시장의 경우 최근 언론에서 발표한 통계수치 등을 볼 때 정부 및 지자체의 재난지원금 등으로 전통시장의 매출이 잠깐 상승기조로 돌아서기도 했지만 근본적인 민간부문의 소비심리가 회복되지 않는 한 하반기 전망도 암울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 문제는 우리경제의 구조적인 문제와 연계된 것으로서 조속한 경기회복 및 고용안정이 뒷받침되지 않는 한 단기간내 가시적인 회복을 장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하지만 우리민족은 국가위기 등 어려울때일수록 힘을 합쳐 함께 노력해온 기억이 많다. 멀게는 일제강점기때의 비록 일제의 방해로 가시적인 성과는 없었지만 자발적인 국채보상운동과 IMF경제위기 당시 금모으기 운동 등은 누가 시켜서가 아닌 국난극복을 위한 국민의 자발적인 의지와 단합된 노력이 지역과 세대, 계층을 아울러 위대한 나비의 날갯짓을 만들어낸 사례들인 것이다.

코로나19 경제위기도 마찬가지이다. 어려울수록 나보다 더 어려운 이웃들을 위해 작은 마음이나마 함께하고자 하는 5천만 국민들의 선한 의지가 모인다면 코로나19 경제위기를 조기에 극복할 수 있는 거대한 나비의 날갯짓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6월26일부터 2주간 내수회복을 통한 중소소상공인 활력제고를 위한 대한민국 동행세일이 전국에서 개최되고 있다. 특히 이 행사에는 지역경제의 실핏줄이자 서민경제의 근간이 전통시장에서도 참여하고 있으며 경기지역에서도 80여개 시장에서 다양한 프로그램과 상품을 구비하고 함께 살아가는 우리 이웃들의 작지만 따뜻한 관심을 기다리고 있다. 혹자는 지금은 비상시국으로 허리띠를 졸라매야 할 때가 아닌가하는 의견도 있을 수 있고 쓸돈이 없어서 소비를 하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일견 논리적인 의견일수도 있다.

하지만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는 속담도 있듯이 이번 주말에는 그동안 코로나19로 심신이 지쳐있는 나 자신과 가족들을 위해 인근 전통시장에서 삼겹살 100g, 과일 한 개라도 더 구입해보는 작은 사치정도는 누려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며 선한 나비효과의 확산을 기대하며 얼마전 스마트폰에 설치한 앱을 통해 흥겹고 중독성있는 동행나비챌린지 영상을 돌려본다. 선한의지가 선한 결과를 낳는다는 모두의 간절한 믿음과 확신이 절실한 시점이다.

홍진동 경기중기청 조정협력과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