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파주에서 처음으로 말라리아 감염 모기발견

파주에서 말라리아 감염된 모기가 채집됐다. 이에 따라 DMZ 접경지역 주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파주시보건소와 질병관리본부는 국내 말라리아 유행 예측을 위해 매개 모기 밀도를 조사하던 지난달 14∼20일 파주에서 채집된 얼룩 날개 모기류 5마리를 검사한 결과, 말라리아 원충 유전자가 확인됐다고 1일 밝혔다. 지난해보다 2주일 정도 빠르다.

얼룩 날개 모기류는 말라리아 매개 모기 중 하나로, 날개에 흑·백색의 반점 무늬가 있는 점이 특징이다. 유충은 논, 수로, 웅덩이 등지에 서식하면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한다. 말라리아는 보통 감염된 모기에 물려 감염되는데 오한, 고열, 발한 등이 순서대로 발생한다. 초기에는 권태감이나 발열 증상이 며칠간 지속하다 두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파주와 인천 등 한때 말라리아가 발생했던 위험 지역에선 가급적 야간활동을 자제하고 부득이하게 나가야 할 때는 긴 소매 옷을 입거나 모기 기피제를 쓰는 게 좋다. 잠잘 때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DMZ 접경지역 등 국내 말라리아 발생지역에 거주하거나 방문한 뒤 의심 증상이 있으면 보건소나 의료기관을 방문, 신속하게 검사를 받아달라”고 말했다.

한편 보건당국은 매년 4∼10월 말라리아가 매개 모기를 채집해 국내 유행 시점을 예측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현재 인천ㆍ경기ㆍ강원 보건환경연구원, 군부대 등과 협조해 51곳에서 모기를 채집·조사하고 있다.

파주=김요섭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