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군은 최근 ‘양평군 푸드플랜 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지역의 미래 먹거리 전략을 논의했다.
‘푸드플랜’은 먹거리체계가 점차 복잡해지고, 생산자와 소비자 이외에도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등장해 농식품 관련 이슈와 관심이 다양해지고 상호연관성이 커지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종합 먹거리 전략이다.
농식품 관련 이슈는 단순히 생산과 소비에 한정하지 않고, 유통, 가공, 폐기 등에 이르기까지 식품안전, 영양, 환경, 일자리, 먹거리 복지 등으로 관심이 다양해지고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국가 차원의 먹거리 종합전략으로 ‘국가 푸드플랜’이 수립됐고, 지난 2015년 전주시, 지난 2017년 서울시 등 지자체별로 지역단위 푸드플랜이 속속 수립되고 있다. 이번에 양평군이 착수한 보고회는 양평의 지역적 특색과 양평의 정책 의지를 반영한 양평군 푸드플랜 수립을 위한 준비작업이다.
착수보고회에서 연구용역을 맡은 지역농업네트워크협동조합은 푸드플랜 수립 추진방향을 설명하고, 공공영역에서 출발해 지역 단위 실행체계 구축을 위한 민관 거버넌스 수립을 강조했다.
특히, 친환경 로컬푸드운동, 토종 종자 보급운동 등 양평의 주요 먹거리 이슈를 발굴해 친환경 농업 특구인 양평의 특색있는 푸드플랜 수립을 목표로 용역을 진행할 예정이다.
성공적인 푸드플랜 수립을 위해선 민?관 소통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로 지역 내 생산과 소비를 촉진하는 지역경제 선순환도 기대된다.
정동균 군수는 “양평 군민의 안전한 먹거리정책과 농업을 통한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해 체계적인 먹거리 전략을 수립해 나가겠다”며 “특히 포스트 코로나 이후 양평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토종 종자 산업과 로컬푸드운동 등 친환경 농업특구인 양평군의 도시 브랜드 자산을 확대하고, 양평 군민의 먹거리 복지를 담보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푸드플랜을 수립하는 데는 행정은 물론 민간 협력과 참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평=장세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