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중대본)가 코로나19 대응지침을 내린 가운데, 김포시가 확진자 동선을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아 시민들이 확진자 동선을 특정할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26일 김포시와 시민들에 따르면 시는 지난 24일 관외(서울 마포구) 확진자인 마산동 은여울마을 상록데시앙 거주 소방관 A씨 예비부부(19ㆍ20번 확진자) 동선에 대해 ‘관내 운동시설, 관내 PC방 등으로 마스크를 착용하고 대중교통(지하철)을 이용했으며 관내 접촉자는 모두 3명으로, 지난 12일 오전 11시30분 이후 관내 운동시설에서 접촉이 이뤄졌다’고 공개했다.
A씨의 나머지 동선은 출근, 퇴근, 관외 동선 등으로 표현돼 있다.
이에 대해 시민들은 확진자 동선을 특정할 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A씨가 확진판정을 받은 서울 마포구는 상대적으로 구체적 상호를 명시했다. 지난 20~22일 날짜별로 지하철을 이용한 정확한 시간을 밝히고 있는데다, 지난 21일 오후 6시20분~오후 8시 엉터리생고기 마포점(토정로 170), 오후 8시~밤 10시30분 네오치킨(창전로 37) 방문 등 동선을 특정하고 있다.
김포시는 또 부천시 86번 확진자인 A씨의 예비 남편 B씨의 관내 접촉자는 모두 20명이라고 공개했으나 접촉 장소는 관내 PC방, 주점, 의원 등으로만 밝혔다.
시민들은 SNS 등을 통해 “이런 식의 동선 공개라면 의미가 없다. 관내 PC방이라고만 하면 시민들이 김포 지역 전체 PC방 이용을 꺼릴 수도 있다. 정보공개 내용이 미흡하면 해당 업종 전체가 위축될 수도 있다. 투명한 동선 공개가 절실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해 김포시 관계자는 “중대본 지침이 다중이용시설 등 접촉자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 한해 업소명을 공개하도록 하고 있다”며 “시는 이 지침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업소명을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접촉자들에게는 모두 개별 연락을 취해 코로나19 검사를 받도록 하고 자가격리 조치를 취하는 등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최선을 다하고 있어 시민들께서는 상호가 공개되지 않는다고 불안해 하지 않아도 된다”고 강조했다.
김포=양형찬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