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 구직자 10명 중 4명, 재취업 위해 직종 변경

중장년 구직자 10명 중 4명은 재취업을 위해 직종 변경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 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는 40세 이상 중장년 구직자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2020년 중장년 구직활동 실태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5일 밝혔다.

응답자 10명 중 6명(57.8%)은 구직활동 기간이 6개월 이상이라고 답했다. 이어 6개월~1년(26.5%), 3~6개월(26.5%), 1년~2년(25.7%), 2년 이상(5.6%), 3개월 미만(15.7%) 순으로 조사됐다.

재취업 시 직종 유지를 희망한다는 답은 60.8%, 직종 변경으로 재취업하겠다는 답은 39.2%로 집계됐다.

직종 변경을 희망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직종은 연구직으로 60.0%가 답했으며, 단순노무직(50.0%)과 사무관리직(44.2%), 영업판매직(43.7%) 등이 뒤를 이었다.

직종 변경 이유로는 연령 제한 등으로 주 직종 취업 가능성이 희박해서(43.7%)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희망직종이 중장년 취업에 용이해서(16.4%)라거나 기존 주 직종의 일자리가 부족해서(8.9%)라는 답이 이어졌다.

재취업 시 희망 임금은 평균 월 244만 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응답자들의 퇴직 시 평균 임금인 월 315만 원의 77% 수준으로, 코로나19 발생 전인 작년 12월(252만 원) 조사 때보다도 적어진 액수다.

희망 임금을 구간별로 보면 200~250만 원이 29.5%로 가장 높았으며, 150~200만 원(21.6%), 250~300만 원(19.8%), 300~400만 원(13.8%)으로 나열됐다.

중장년 구직자 절반(47.7%)은 인터넷이나 모바일 등 온라인으로 구직활동을 하고 있었다. 고용센터 방문(19.5%)이나 지인 소개(13.0%), 채용행사 참여(9.6%) 등이 뒤따랐다. 손원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