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 국민이 코로나19와 싸울 때 바이러스보다 더 위험한 것이 나타났다. 바로 가짜뉴스다. 전 세계 내로라하는 IT 환경에서 급속히 유포되는 가짜뉴스는 심각한 문제를 낳았다. 특히 검증되지 않은 가짜뉴스가 일부 언론의 지나친 속보 경쟁 속에 자극성 헤드라인을 달고 급속히 퍼져 나갔다.
잘못된 정보가 가뜩이나 불안한 삶의 현장에 공포를 더하기도 했다. ‘확진자 발생’이나 ‘확진자 방문’이라는 가짜뉴스가 유포돼 혼란스러웠다. 지난 1월 말 수원지역 병원과 시청 단톡방에는 언론사를 사칭한 가짜뉴스가 올라왔고, 손님이 없어 전전긍긍하는 소상공인 가게에 확진자가 다녀갔다는 가짜뉴스가 SNS로 퍼지기도 했다.
정치인의 가짜뉴스는 더욱 심각한 폐해를 낳았다. 한 의사가 SNS에 올려 일부 언론이 보도한 의혹을 야당 주요인사가 선거를 하루 앞두고 ‘정부가 코로나19 확진자 수를 줄이기 위해 검사요건을 강화했다’는 취지로 제기해 일파만파 퍼졌으나 가짜뉴스로 판명됐다.
가짜뉴스의 횡행은 우리 사회의 신뢰 기반을 무너뜨린다. 온 국민이 똘똘 뭉쳐 코로나19의 재난을 극복하려는 상황에서 언론의 역할은 막중하다. 확진 환자 정보나 개인 안전수칙 및 예방법, 위생용품 판매처와 수급상황의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공유의 정신까지 확산하는 진짜뉴스가 착한뉴스라고 할 수 있다.
재난 발생 시 신속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이 언론의 역할이다. 언론은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재난 보도 준칙, 코로나19 보도 준칙을 지킬 의무가 있다. 감염병의 규모, 증상 등에 대해 과장하거나 감정을 자극하는 표현을 삼가고, ‘대혼란’, ‘공포’, ‘패닉’, ‘봉쇄’, ‘유령도시’ 같은 자극적인 제목의 보도를 자제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코로나19 사태를 잘 관리하는 모범적인 나라다. 국경과 지역의 폐쇄 없이, 그리고 경제활동과 주민 이동의 전면 중단 없이도 투명성, 개방성, 민주성의 3원칙을 지켰기에 오늘의 성공이 가능했다. 게다가 코로나19 상황에서 선거를 치러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대한민국의 위기 대응 체제 및 앱 등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선진적 방역 기법은 국제표준이 되고 있다. 한국산 코로나19 진단키트와 의료장비 등 방역물품 수출도 급증하고 있다.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드라이브 스루 및 워크 스루 선별진료소 등 혁신적인 방역 방법 또한 세계의 롤 모델이 되고 있다. 코로나19 극복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 질병관리본부 등 정부와 지자체, 기업 그리고 국민 간 역할 분담과 신뢰 구축은 국제사회의 높은 관심과 호평을 받고 있다.
대한민국이 코로나19를 이겨내고, 더욱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가 되도록 언론이 ‘진짜뉴스’의 힘으로 더 큰 중심 역할을 해주기를 바란다.
김원기 경기도의회 부의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