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둥이 형제가 있다. 큰아이는 매일 사고를 친다. 부모에게 사랑받고 싶다며 설거지를 하겠다고 나서면 그릇을 깨고, 다리미질을 하겠다고 나서면 옷을 태워 먹는다. 작은아이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형만 쫓아다닌다. 형이 사고를 칠 때마다 부모에게 “형이 또 그릇을 깨트렸다. 형이 사고 쳤으니 나를 사랑해 달라”고 고자질만 한다.
당신이 부모라면 어떤 자식에게 미소를 짓겠는가. 그릇을 깨더라도 설거지를 하는 큰 아이인가, 옆에서 형의 잘못을 일러바치기만 하는 동생인가.
21대 국회의원 선거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으로 끝났다. 압승이라는 표현이 부족할 정도의 승리다. 더불어민주당의 기세가 무서울 정도다.
총선이 끝난 다음 날, 더불어민주당의 무서움을 또 한 번 느꼈다. 이해찬 대표는 “승리의 기쁨보다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 정신 바짝 차릴 때”라며 당원들에게 말조심 할 것을 신신당부한다. 승리의 근본적 이유인 문재인 대통령 역시 16일 첫 메시지가 ‘총선’이 아닌 ‘세월호’다. “그리움으로 몸마저 아픈 4월”이라는 문 대통령은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우리의 자세와 대책 속에는 세월호의 교훈이 담겨 있다”며 안전한 나라를 만들겠다는 다짐을 다시 한다. 총선은 언급조차 없다.
반면 미래통합당은 자신들이 왜 국민에게 회초리를 맞는지 아직도 모르는 것 같다. 황교안 대표는 “나라가 잘 못 가는 것을 막지 못했다. 통합을 이뤘지만 화학적 결합할 시간이 부족했다”고 말한다. “형이 그릇을 깼는데 왜 형을 안 혼내주느냐”고 부모에게 고자질하며 형한테 회초리를 때려 달라고 떼쓰는 유치원생 같다.
김종인 선대위원장은 “자세도 갖추지 못한 정당을 지지해달라고 요청한 것을 송구스럽게 생각한다. 야당도 변화하라는 명령으로 받아들이겠다. 국민이 이 정부를 도우라고 한 만큼 야당도 그 뜻을 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역시 황 대표보다는 김 위원장이 고수다. 김 위원장의 저 말 속에 패인도, 부활할 방법도 다 들어 있지 싶다.
다음 선거는 2022년 3월 대선이다. 내년 이맘때는 여야가 대선 경선 레이스를 준비한다는 말이다. 통합당은 반성할 시간도, 만회할 시간도 부족하다. 이번 패배로 충격도 받았고 혼란스럽겠지만, 그럴 때 가장 빠르게 극복하는 방법은 ‘일하는 것’이다. 억지로 싸우지 말고, 습관적으로 딴지걸지 말고, 일하라!
2017년 대선, 2018년 지방선거, 2020 국회의원선거까지 계속 회초리를 맞고 있는데, 아직도 왜 맞는지 모르면, 방법이 없다. 계속 맞는 수밖에.
이호준 정치부 차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