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 기초 자치단체 최초로 ‘대북지원사업자’ 지정

파주시가 전국 기초 자치단체로서는 처음으로 고양시와 함께 ‘대북지원사업자’로 지정됐다.

이에 따라 앞으로 시의 역점 사업인 ‘임진강거북선 남북공동포럼’ 제안 등 대북사업을 독자적으로 할수 있게 돼 남북 교류협력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시는 대북지원사업자로 지정됐다고 19일 밝혔다.

정부의 대북지원사업자 지정 제도는 민간 차원에서 이뤄지는 대북 지원 사업의 질서와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2011년부터 운영됐다. 기존 규정에선 지자체가 대북지원 사업을 진행하려면 반드시 민간단체를 통해야 했지만 통일부가 지난해 10월 ‘인도적 대북지원사업 및 협력사업 처리에 관한 규정’을 개정, 지정대상에 지자체를 포함시키면서 이번에 파주시 등이 지정됐다.

시가 이번 지정으로 독자적인 남북교류 협력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되면서 대북협력사업이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시가 올해 중점 대북사업으로 추진하는 사업은 ▲개성시와 농업협력 사업 ▲ 해주와 문화교류 ▲조선최초 임진강거북선 남북공동복원위한 학술 포럼 등 ▲인도적 지원사업 등 실현가능한 남북교류협력 사업이다.

최종환 파주시장은 “지금은 코로나19 확산방지에 모든 행정력을 기울이고 있고 남북경색 기조도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주변국 역학관계에 따라 부침이 많은 남북관계는 언제든지 변할 수 있다”며 “남북관계 회복에 대비해 앞으로 안정적으로 인도적 지원 및 개발협력 사업을 추진, 평화협력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 2018년 10월 전국 기초 자치단체 중 최초로 전담 부서인 시 평화협력과를 신설했으며 지난 1월 남북간 평화조성 관련 업무를 효율적·전문적으로 추진하고자 평화기반국을 설치했다.

파주=김요섭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