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정보를 NHK에 국제방송을 요청한 가운데, 일본 내에서는 불만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일본 총무성은 지난 11일 NHK에 국내 코로나19의 최신정보를 해외에 방송해 줄 것을 요청했다. 총무성이 개별 사안을 NHK에 방송을 요청한 것은 지난 2006년 북한 납치문제와 관련해 국제방송을 요청한 이후 처음이다.
총무성은 “NHK의 방송이 해외에 체류 중인 일본인이나 외국인 관광객에게 유익한 정보가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방송 비용은 정부 예산에서 충당한다.
이에 한 네티즌은 관련 기사에 “검사 진행 현황도 발표해야 된다”며 “‘왜 일본은 이렇게 (확진자 수가) 적은가?’라고 의심받고 있다”고 댓글을 달았다.
또 다른 네티즌은 “해외에 정보를 공개하는 것이 틀린 생각은 아니지만, 그렇다면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야 하고, 국내에서도 데이터를 전국적으로 통일해야 하지 않을까? 매일 지역에서 감염자 수가 나와도, 어떻게 검사를 받고 나온 감염자 수인지 알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름은 빼더라도 성별이나 연령까지도 프라이버시 문제로, 경로는 상점 등에 피해가 가 아무것도 공개하지 않으면,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알 수가 없지 않냐? 개인정보보호법을 말하는 사람도 있지만, 지금은 예외로 다뤄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제 정확한 데이터를 전국적으로 통일해 공개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후생노동성 홈페이지를 잘 찾아보면 지방자치제 검사자 수와 확진자 수가 목록에 있다” “의료 시스템이 붕괴하지 않도록 억제하고 있어 검사 수가 적고, 역으로 감염자 수도 적은 것. 손정의가 간이 검사키트를 제공한다는 말을 철회한 이유도 확진자가 많이 나오면, 의료 시스템이 마비될 수 있다는 비판이 있어서다. 검사는 완벽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장건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