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수계관리위원회, 한강수계관리기금 중기운용계획 심의·확정

한강수계관리위원회는 제2차 한강수계관리기금 중기운용계획을 지난 3일 경기와 인천, 서울 등 5개 시ㆍ도 수계위원 전원 합의로 심의ㆍ확정했다.

4일 한강수계관리위원회(이하 위원회)에 따르면 중기계획(2021~2025)은 기금의 효율적인 운용ㆍ관리를 위해 기금의 수입ㆍ지출 및 운용, 물이용부담금 등 재원별 조성계획 등을 포함, 5년마다 수립하는 법정계획이다.

위원회는 올해 4천949억 원, 5년 동안 총 2조7천억 원을 편성ㆍ운용키로 했다.

앞서 위원회는 지난 2015년 상ㆍ하류 지자체간 의견 대립으로 합의되지 못한 ‘제1차 한강수계관리기금 중기운용계획(2016~2020)’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2차 중기계획 수립 전에 상ㆍ하류 지자체와 전문가, 한강유역환경청의 거버넌스를 구성했다.

이에따라 소통ㆍ협력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논의와 포럼 운영 등을 통해 상ㆍ하류 지자체의 합의를 이끌어 이번에 만장일치 합의안을 도출했다.

특히, 위원회는 기금 운용 방향을 ▲정부정책 및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적 운용 ▲운용 안전성 ▲상ㆍ하류 협력 강화를 통한 지원사업 다양화 ▲투자효율성으로 선정해 투자 계획을 수립했다.

2차 중기운용계획에 따라 주민지원사업과 환경기초시설과 상ㆍ하류 지역별 수질관리 숙원사업 등에 총 2조 7천억 원의 기금이 투입된다.

상수원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 기반시설 구축 및 개량 등 한강 상류지역 환경기초시설사업에 가장 많은 1조2909억 원이 지원된다.

또, 상수원관리규제 지역 주민지원사업에 4천282억 원, 수질오염원 제거와 토지매수ㆍ수변구역관리에 4천693억 원을 투입한다.

게다가 한강본류 앞바다 쓰레기 처리비용과 개인하수처리시설관리 등 상ㆍ하류 지역 숙원사업에도 481억 원을 투자한다.

위원회 사무국장을 겸직하고 있는 최종원 한강청장은 “한강수계 상ㆍ하류간 상생과 협력을 위해 도입한 수계기금의 중기운용계획에 대해 모든 구성원이 합의안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며 “기금사업의 효율적 추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하남=강영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