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파주인구 불균형심각 관련, 정치권 다양한 처방내놓아

파주인구 불균형이 심각한 것과 관련 (본보 지난 5일자 12면), 파주지역 정치권에서 평화경제특구 등 다양한 처방전을 내 놓았다. 운정신도시로 인구가 쏠리면서 원도심은 공동화현상이 나타나는 지역소멸위기감으로 도시활력이 떨어지고, 결국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미쳐 여론을 악화시키는 폭발성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16일 더불어민주당 박정 의원(파주을)은 “지난 4년간 지역 불균형해소 위해 철도, 도로 등 SOC 확충에서부터 교육혁신지구 추진, 법원 1ㆍ2산단, 파평산단 조기 추진, 수영장이 포함된 체육관 증설까지 산업, 교육, 일자리, 복지 등 여러 영역에서 인구 이탈을 막고자 했다”며 “북부 지역의 인구 감소는 지역간 불균형 해소로부터 시작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평화경제특구(통일경제특구)를 추진해야 한다. 현재 정부와, 경기도, 파주시는 언제든 예산을 투입해 특구를 추진할 준비를 마쳤다”며 “평화경제특구는 휴전선 이북에 위치해 남북관계의 변화에 따라 요동을 겪었던 개성공단과 달리 휴전선 이남에 설치되고, 중국, 일본, 미국 등 국제적 자본이 유입된다. 넓은 부지, 저렴한 땅값, 지정학적 특수성 등을 고려해 장단반도에 국제평화공단을 조성하고, 지역적 특성에 맞추어 연관 산업단지, 물류유통단지, 문화관광벨트, 배후 주거단지를 건설하는 파주미래를 위한 마스터플랜”이라고 강조했다.

자유한국당 한길룡 파주을 국회의원 예비후보(전 경기도의원)는 “인구불균형해소는 ‘집중화 마을 사업’을 통해 여기저기 산재한 가구를 핵심지역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통해 이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행정, 복지, 교육, 의료기관을 지역의 핵심지역으로 이동 집중배치하고 산재한 세대도 재배치로 인구의 집중화를 유도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특히 “파주시 장단콩 웰빙마루사업을 대폭 수정해야 한다. 이는 지역별로 간신히 가동하는 장류사업마저 고사시킬 위험성이 크다. 대규모 추진보다는 마을기업 육성차원에서 수십곳으로 분산해야 리스크를 줄인다”며 “북부 파주에 있는 초등학교에 코딩, 어학 등 특수교육을 실시하고 주변의 빈집을 리모델링해 최소한의 비용으로 학부모에게 임대를 하는 등 특성화 초등교육을 도입, 학생과 학부모들의 이주를 도모하는 방법도 도입해야한다”고 전했다.

한편, 파주는 신도시 개발이 한창인 운정신도시지역이 파주전체 인구의 48%를 차지하며 급증 추세인데 반해 파평면 등 원 도심 10개 지역은 인구감소로 지역 소멸위험이 고조되고 있다.

 

파주=김요섭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