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서만 ‘우한 폐렴(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2명 발생하는 등 전국적으로 비상이 걸린 가운데 방역 당국이 추가 확산 차단에 사활을 걸고 있다. 당국은 대응 체계 격상 등을 통해 능동적ㆍ선제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27일 ‘중앙사고수습본부 제1차 회의’를 열고 우한 폐렴 전파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감염병 위기경보를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했다. 또 이날부터 보건복지부 장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가동했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질병관리본부의 방역업무 지원과 지역사회 감염 확산 방지 업무를 담당한다.
특히 경제 분야 피해에 대해서는 28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주재로 긴급경제장관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500~600명으로 추산되는 중국 우한 체류 자국민에 대한 철수 방안(전세기 투입 등)도 최종 검토에 들어갔다.
경기도에서도 이날 정부 방침에 맞춰 이재명 도지사를 본부장으로 하는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격상ㆍ운영하기로 했다. 기존에는 방역대책본부(본부장 보건건강국장)를 운영해왔다.
도는 31개 시ㆍ군 재난안전대책본부를 24시간 가동하고 도지사나 부지사가 주재하는 시ㆍ군 대상 영상회의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대응방침을 전달하고 있다. 도내 선별진료의료기관으로 지정한 57곳에 대해서는 이날까지 현장점검을 완료하면서 각종 의료기관의 중국인 간병인을 철저히 관리해 달라고 공문을 발송했다. 다만 선별진료의료기관의 명단 공개에 대해서는 당분간 비공개하기로 결정했다. 무작정 의심 환자가 의료기관으로 방문시 동선 파악 혼란 및 인근 지역 전파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현재 당국은 의심 환자의 유선 신고가 접수되면 의료진의 방문 점검 혹은 능동적 격리 등을 이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도내 격리 병상을 단계별로 확대운영하는 등 모든 경우의 수에 대비하고 있다. 현재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인 명지병원, 국군수도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26실(28병상)을 운영 중인 가운데 확진자가 추가 발생하면 경기도의료원 6곳을 활용할 방침이다.
한편 도는 지난 23일(이재명 도지사 경기도의료원 현장 방문 및 긴급회의), 24일(김희겸 행정1부지사 주재로 긴급회의)에도 우한 폐렴 상황을 점검한 바 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