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ㆍ15 총선을 앞두고 이색 정당들이 쏟아지고 있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처음 도입되는 이번 총선에서 기성 정당과 다른 목소리를 내겠다며 창당에 나서고 있다. 27일까지 중앙선거관리위 등록을 완료하고 활동 중인 창당준비위원회는 15개다.
‘기본소득당’은 22일 6명 후보가 21대 총선 출마 기자회견을 했다. 19일 창당한 이 정당은 당원 2만여 명 중 10∼30대 청년이 80%를 차지한다. 기후변화 위기와 4차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정책으로 매월 60만 원의 기본소득 제공, 공공·사회 서비스 강화를 공약으로 제시했다. 결혼정보회사 선우의 이웅진 대표는 낮은 결혼율과 초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겠다며 ‘결혼미래당’ 창당을 준비하고 있다. 전 국민 결혼 정보서비스 무료 제공, 결혼장려금 3천만 원 지원, 소득따라 최대 10년까지 신혼부부 임대아파트 지원, 맞벌이 부부를 위한 시간 연장 국공립 어린이집 1천 곳 건립을 우선 과제로 정했다. 허경영씨가 이끄는 ‘국가혁명배당금당’은 20세 이상 국민에게 1인당 월 150만 원, 65세 이상 노인에는 추가 1인당 월 70만 원 지급의 기본소득 공약을 제시했다.
청년 정당인 ‘우리미래’는 만 16세 선거권 도입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기본소득 월 30만 원 보장, 지방분권을 통한 통일연방제 구상, 동북아 경제 중심으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통일익스프레스 개통, 남북공존 실험 공간인 통일특별자치도 지정 등의 정책도 내놨다. 기독당은 1국가 2체제 통일국가 준비, 낙태 금지, 반이슬람 정책 등의 공약을 내놨다. 페트병살리기운동본부는 ‘가자환경보호당’ 창당을 준비 중이다. 탈이념·친환경을 내세우며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 국회 환경노동위에 국회의원을 진출시키겠다는 포부다. 핵확산금지조약(NPT)을 탈퇴해 핵무기를 제조하고 남북한 힘의 균등을 유지하겠다는 ‘핵나라당’도 창당을 앞두고 있다.
벤처기업인이 중심이 된 ‘규제개혁으로 좋은 나라 만드는 당(규제개혁당)’도 창당한다. 정치와 무관한 듯 보이는 벤처기업인들이 정당까지 만들어 정치판에 뛰어든 것은, 줄기차게 요구해온 규제개혁이 지지부진해 4차산업혁명 시대에 대한민국이 뒤처질 수밖에 없다는 위기감의 표시다. 규제개혁당 창당을 보며, ‘오죽했으면…’하는 생각이 든다. 정부도 정치권도 규제개혁이 시급하다고 말하지만 현실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색 정당의 목소리가 얼마나 국민의 공감을 얻을지 모르겠다. ‘원외 정당’의 이색 공약은 대부분 비현실적이고 자극성에만 초점을 뒀다는 비판이 나온다. 하지만 규제개혁당처럼 국가 미래를 위해 절박해서 나온 이들도 있다. 정부와 정치권에 자극이 됐음 좋겠다. 이연섭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