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TV 신제품이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로부터 ‘8K UHD’ 인증을 획득하면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벌이는 ‘TV 전쟁’에서 8K 화질을 둘러싼 논란은 일단락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2020년형 ‘QLED 8K TV’ 전 모델이 미국 CTA의 ‘8K UHD’ 인증을 받았다고 1일 밝혔다.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인 ‘CES’를 주관하는 CTA는 지난해 9월 ‘8K UHD 로고’의 인증 기준을 발표하면서 ‘화질 선명도(CM)’가 50%를 넘어야 한다는 조건을 포함했다.
삼성의 2020년형 모델들은 CM 값을 포함한 CTA 인증 기준을 모두 충족해 이달부터 시행되는 CTA의 ‘8K UHD 인증’ 로고를 부착할 수 있다.
8K 화질 논쟁의 핵심인 CM 값은 LG전자가 지난해 9월 7일 독일 가전 전시회 ‘IFA 2019’에서 처음 제기했다.
당시 LG전자 박형세 부사장은 기자간담회를 열고 “LG 나노셀 8K TV의 CM은 90%로 나온 데 비해 삼성 QLED 8K TV는 12%로 나왔다”면서 “(삼성 TV는) 픽셀(화소) 수로는 8K가 맞지만, 해상도 기준으로는 8K가 아니다”라고 공격했다.
이에 삼성전자는 열흘 뒤 설명회를 열고 CM 값이 8K 기술을 판단하는 결정적인 잣대가 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삼성전자는 “CM은 1927년에 발표된 개념”이라며 “국제디스플레이계측위원회(ICDM)도 2016년 이를 최신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에는 불완전하다고 발표한 바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CTA는 규격 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이 인증은 제조사 선택에 따라 참여하면 된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CM 값을 50% 이상 맞추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렵지 않다는 점을 강조해 왔지만, CTA 로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은 삼성전자 역시 CTA의 중요한 회원사로서 미국 시장에서 불필요한 논쟁을 하지 않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CTA 인증을 받은 모델들에 대해 ‘8K 협회’가 주관하는 8K 인증도 획득했다. 8K 협회는 8K 관련 표준 정립과 생태계 확대를 목표로 하는 글로벌 조직으로 삼성전자가 주도해 설립됐으며 총 22개 회원사가 가입했다.
협회는 지난해 9월 8K 인증 기준을 발표했다. ▲ 해상도 7680×4320 ▲ 디스플레이 최대 밝기 600니트 이상 ▲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 HDMI 2.1 적용 등이 그 내용이다.
현재 다른 회원사들도 삼성전자의 뒤를 이어 8K 협회 인증을 추진하고 있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한편 8K TV는 화면의 가로 화소가 8천개(실제 7천680개)인 제품으로 세로 화소(4천320개)를 곱하면 전체 화소는 3천317만개 이상이다. 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