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삼촌, 인민군에 끌려가다 두포리서 행방불명
당시 실상 제대로 알 수 없는 유족들 ‘평생의 恨’
현장 발굴조사·기록작업 촉구 결의안 발의할 것
“한국전쟁 때 발생한 파주 두포리 민간인 학살사건 영상자료가 69년만에 발굴(본보 21일자 1면 보도), 당시 참혹했던 학살현장이 생생하게 공개됐습니다. 희생자들에 대한 전수 및 유해발굴 조사가 빨리 이뤄져야 합니다”
파주시의회 조인연 의원은 지난 28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1950년 10월2일 북으로 도주하던 인민군들이 파주 두포리 산39 일원에서 참혹하게 학살한 희생자들이 몇 명인지 조차 지금껏 파악되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 1985년 세워진 위령비에는 일각에서 알려진 97명보다 훨씬 많은 수백 명이 집단 학살됐다고 기록하고 있다.
조 의원은 “외삼촌(당시 20대 초반)도 학살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며 “외삼촌은 당시 두포리 학살현장에서 3km 떨어진 금파리 집에 있다가 집안 일꾼 3~4명에 의해 인민군에 신고돼 북으로 끌려가다 두포리에서 행방불명됐다. 어머니는 돌아가시전까지 늘 외삼촌 얘기를 했다”고 말했다.
그는 외삼촌 이야기를 담담히 회상하면서 감정이 격해져 눈시울을 붉히는 등 인터뷰 동안 감정 절제를 하지 못했다.
조 의원은 “그동안 유가족들은 당시 학살 실상을 부모님 등으로부터 기록이 아닌 구술로 들은 내용이 전부다. 당연히 실상을 제대로 알 수 가없다”면서 “ 이제라도 유가족을 파악해 학살 실상(희생자수 등)을 기록화하는 한편 신원파악이 안돼 학살현장에 그대로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해 전수발굴 작업이 실행에 옮겨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그는 “조만간 두포리 학살현장 전수 발굴조사와 기록작업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시의회에서 발의하겠다. 정치적이나 이념이 아닌 실체적 진실로 접근할 것이다”며 “ 그래서 유가족들의 평생의 한을 풀어 주고 싶다”고 덧붙였다.
조 의원은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는 미래가 없다. 역사를 외면하면 반드시 불행은 반복된다. 두포리 학살사건이 담긴 영상 필름이 공개된 것을 계기로 파주시 등의 진상조사 등 결단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조 의원은 이어 “ 현재 두포리 학살터에는 위령비 외에 추모 편의 시설이 없다. 추모공원을 조성토록 노력하고 파주의 청소년들에게 당시 실상을 제대로 알려주는 활동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