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아프리카돼지열병, 이제 지나가길

이명관 사회부장 mklee@kyeonggi.com
기자페이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공포가 잦아들고 있다.

베트남, 중국 등 해외 사례를 보면 전 국토를 휩쓸고 지나간 경우도 부지기수였지만, 우리나라는 소강상태 국면이다. 정부는 최근 인천 강화와 김포, 파주에 이어 연천까지 4개 지역 ASF 발생농가와 10㎞ 방역대 내 양돈농가에서 ASF 바이러스가 모두 사라진 것으로 확인했다.

정부와 지자체, 민간 등이 한데 어우러져 적극적으로 선제적 대응에 나선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된다.

우선 4개 지역에서 병에 걸리지 않은 돼지까지 ‘예방적 살처분’했다. 애초 3㎞ 반경의 가축을 살처분하는 것을 넘어 10㎞까지 확대한 데 이어 전 지역까지 범위를 넓혀 조치했다.

적극적인 이동제한 조치 또한 한몫했다. 다만 이 과정에서 몇몇 무리한 작업이 논란이 된 바 있다. 연천군이 수만 마리의 돼지사체를 매몰하면서 이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쌓아뒀다가 침출수를 유출했다. 이 과정에서 5만 마리 가량의 차이가 나는 잘못된 수요 예측도 드러나는 등의 허술함도 확인됐다.

문제는 앞으로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추가적으로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잇따라 ASF 바이러스가 검출됐던 야생멧돼지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

이 과정에서 고통받고 있는 이들을 잊어서는 안된다.

우선 살처분 작업에 동원된 이 중 80%가 넘는 5천600여 명의 민간인이 겪는 불면증ㆍ환청ㆍ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등 트라우마에 대한 치료가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 공무원이 아니라는 이유로 차별을 받아서는 안된다.

또한 살처분된 축산농가를 비롯한 축산인들의 고통도 함께해야 한다. 접경지역에서 돼지를 다시 키울 수 있는 재입식이 언제가 될지는 현재로써는 예측조차 어렵다. 아직 직접적인 피해를 입지는 않았지만 경기남부를 비롯한 충청ㆍ강원도 축산농가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은 이동제한 해제 조치와 경기북부의 추가적인 방역 완화조치를 바랄 것이다.

겨울이 오면서 조류독감이나 구제역 등의 공포도 몰려오고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하루빨리 해결되기를 바란다.

이명관 사회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