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교통공단에 의하면 2018년 교통사고 사망자수 3천781명 가운데 보행 중이 39.3%(1천487명), 자동차 승차 중 35.5%(1천341명), 이륜차 승차 중 19.5%(739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행 사망자 비중은 OECD 국가평균(19.7%, 2016)과 비교해 두 배 정도 높아 2천 명대 전체 교통사망자 감소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보행 사망자의 대폭적인 감소가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체계적인 교통안전 전략을 만들어 시행할 필요가 있다.
첫째, 보행자 교통안전 전략 추진의 주 타깃을 노년층(65세 이상) 고령보행자로 설정해야 한다. 그 이유는 전년도 보행 사망자 1천487명 중 연령대로 보면 65세 이상 고령 보행자가 842명(56.6%)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사망자는 저녁ㆍ밤 시간대(오후 6시~자정)와 새벽ㆍ아침 시간대(새벽 4시~오전 8시)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들 시간대에 움직이는 고령 보행자들의 이동 특성에 따른 ‘어르신 접점 안전 활동’을 시행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 도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어르신들이 많이 다니시는 종교시설, 공원 산책로, 재래시장, 전철역 및 버스 정류장 등에서 직접 일대일로 만나 무단횡단 위험성과 짧은 안전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계도 활동을 시행할 수 있다.
셋째, 고령 보행자에 대한 강한 교통법규 준수 전략이 필요하다. 미국은 나이가 들면 성숙한 시민의식과 모범적인 모습을 보이기 위해 노력하게 되는 데 반대로 우리는 고령이라는 이유로 법규 준수보다 본인 편리위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경향이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더 나아가 경찰이 무단횡단을 하는 어르신을 보고 단속하거나 경고를 주지 않게 되면 마찬가지로 무단횡단을 한 젊은 사람들에게 무단횡단을 이유로 단속하는 것에 대해 상당히 부당함을 느끼게 된다. 이는 세대 간 갈등과 이들도 나이가 들어 노년층에 접어들면 무단횡단을 해도 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어 미래의 교통안전이 위협될 수 있다.
넷째, 보행자와 운전자를 위한 교통안전시설 또는 장비의 확충과 운영에 대한 전략이 필요하다. 가로등 조도를 높이거나 LED 투광기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횡단보도 주변 황색 및 적색 점멸등 신호가 있으면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점멸신호등의 의미를 알려주고, 가능한 정상신호로 전환해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더 나아가 무단횡단 잦은 지점에 중앙분리대를 설치하여 무단횡단 자체를 못하도록 만들어야 하며, 과속 단속카메라를 확대 설치해 차량의 운행 속도를 떨어트려야 한다.
마지막으로, 운전자와 보행자에 대한 보호와 배려 의식을 제고시키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외국에서는 도로 상에 서 있기만 해도 운전자들은 정지하여 보행자가 도로에서 안전하게 벗어날 때까지 배려하는 교통문화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운전자들은 도로 상에 보행자가 있음에도 속도를 줄이지 않고 위협적으로 운전하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된다. 이에 정부에서는 ‘속도를 낮추면 사람이 보인다’라는 안전속도 5030 정책과 경찰청에서는 ‘사람이 보이면 일단 멈춤’이라는 보행자 우선 문화 확산 정책에 주력하고 있으나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전 국민 교통안전의식 개혁을 이끌 수 있는 새로운 홍보 방식을 수반할 필요성이 있다.
지윤석 한국교통안전공단 경기북부본부 처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