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수십억원 들여 다용도 광장 조성, 내년 상반기 개방 계획
주차공간 확보·제대로 된 공원 조경수 처리방안 안보여 논란
광주시가 수십억 원을 들여 추진하는 청사 앞 공원 리모델링 사업이 경관훼손은 물론, 예산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28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시는 청사 앞에 조성돼 있는 공원 5천500㎡을 밀어내고 다용도 광장으로 조성하는 사업에 착수했다. 지난 2009년 청사이전 이후 10년 만이다.
다용도광장 리모델링 사업에는 4천200㎡ 면적의 보도블록 등을 활용한 광장조성에 10억 원, 1천300㎡ 면적의 물놀이 시설에 8억5천만 원, 설계비에 6천만 원 등 총 공사비 19억1천만 원을 투입한다. 오는 12월 중 설계를 마치면 내년 초 착공, 상반기 중 시민에게 개방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오산시청을 롤모델로 삼았지만, 성공 사례로 보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오산시는 20여 년 전 개청 당시부터 청사 앞을 광장으로 조성해 여름에는 수영장, 겨울에는 스케이트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주차장 부족에 따른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주말 행사를 유도하는 실정이다. 추가로 청사 주변 등에 주차장을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하지만, 광주시는 주차공간 확보는 물론, 공원 내 식재된 조경수 등에 대한 처리방안도 없이 광장 조성에 나서 논란이 되고 있다.
광주시청은 평소에도 부족한 주차공간으로 직원 및 민원인들의 불만이 끊임없이 쏟아지는 형편이다. 또한, 행사 시 청사 내 도로변은 물론 인도 위까지도 차량에 점령당하고 있다. 특히, 현재 청사 앞 공원에는 개청 당시 기증받은 수십 년 된 소나무 등 조경수 7천여 그루가 식재돼 있지만 제대로 된 처리 방안조차 마련하지 않고 있다.
10년 앞도 내다보지 못하는 주먹구구식 행정으로 시민들의 소중한 혈세를 낭비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
한 직원은 “지금도 주차난이 심각한 수준이다. 선제적인 대안없이 추진하는 광장조성은 경관훼손은 물론, 각종 민원발생으로 이어져 직원업무에도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현재 공원을 이용하는 시민이 많지 않다. 다용도 광장으로 조성하면 결혼식 등 각종 시민행사를 진행하게 될 것”이라며 “설계가 나오면 기존 공원에 식재된 조경수 등은 청사 주변으로 옮기거나 필요한 시설에 기증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