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미탁’ 수요일 국내 상륙…올해 유독 태풍 잦은 이유는?

기상청 홈페이지
기상청 홈페이지

제18호 태풍 ‘미탁’이 수요일인 10월 2일 아침 제주 서쪽 바다를 지나 오후에 전남 해안으로 상륙할 전망이다.

이 태풍은 내륙을 관통하면서 남부지방은 물론, 중부지방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29일 기상청에 따르면 ‘미탁’은 이날 오전 9시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720㎞ 해상에서 시속 18㎞로 서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윤기한 기상청 통보관은 “태풍이 29도 이상의 고수온 해역을 지나며 계속 발달하고 있다”며 “앞으로 점차 강해지면서 일본 열도에 걸쳐 있는 강한 북태평양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북상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현재 중간 강도의 소형급 태풍인 ‘미탁’은 30일 오전 9시께 강한 중형급으로 발달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탁’은 내달 1일 오전 9시께 대만 타이베이 북북동쪽 약 310㎞ 바다, 내달 2일 오전 9시께 제주도 서귀포 서북서쪽 약 120㎞ 바다를 통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어 전남 해안에 상륙해 우리나라를 관통한 뒤 3일 오전 9시께 독도 서쪽 약 120㎞ 해상에 있을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봤다.

윤 통보관은 “태풍이 월요일(30일) 대만 부근에 있을 때 위치와 방향 전환 시점이 현재 예상과 달라질 수 있고 북태평양 고기압과 북쪽 대륙 고기압 등 우리나라 주변 기압계 위치와 세기도 변할 수 있다”며 “이에 따라 제주도 인근에서 진로가 바뀔 수 있으니 최신 태풍 정보를 참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올해 들어 지금까지 발생한 태풍은 ‘미탁’을 포함해 총 18개다. 이 가운데 지금까지 6개가 우리나라를 직·간접으로 할퀴고 지나갔다.

1951년 이후 우리나라가 태풍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해는 1959년으로 총 7개가 한반도에 상륙했거나 접근했다.

‘미탁’이 한반도에 접근하면 올해는 1959년과 ‘공동 1위’에 오르게 된다.

이처럼 올해 태풍 영향을 많이 받은 이유는 크게 북태평양 고기압 위치와 지구온난화 때문으로 풀이된다.

사상 최악의 폭염을 기록한 작년과 비교해 올여름이 상대적으로 덜 더웠던 것도 우리나라가 북태평양 고기압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았기 때문이다.

여름철 더위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북태평양 고기압이 우리나라를 견고하게 덮고 있으면 태풍이 올라오지 못하는데, 올해는 동쪽으로 물러나면서 그 가장자리를 타고 태풍이 북상했다는 설명이다.

지구온난화가 잦은 태풍 빈도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나온다.

보통 9월 말이나 10월 초에는 수온이 많이 떨어져 태풍이 한반도로 올라오기 쉽지 않은데, 올해는 다르다는 것이다.

문일주 제주대 교수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태풍이 강도를 유지한 채 북상하는 것은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보인다”며 “앞으로 지구온난화가 더 심해지면 늦가을에도 우리나라가 태풍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