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D가 부족하면 손 저림과 감각, 근력 저하를 일으키는 손목터널증후군의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국내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분당서울대병원 관절센터 공현식 교수팀은 손목터널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비타민D와 손목터널증후군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한 3편의 논문이 국제학술지인 ‘Journal of Hand Surgery’에 게재됐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손목터널증후군 증상으로 2011년부터 2014년까지 병원에 내원한 135명의 여성 환자(평균 연령 65세)와 건강검진을 위해 내원한 여성 135명(평균 연령 55세)을 대상으로, 비타민D와 손목터널증후군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비타민D 수치가 낮은 여성의 경우 정상 그룹과 비교해 손목터널증후군 발병 위험이 약 2.3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0세 이상 여성 그룹에서는 비타민D 수치가 낮으면 손목터널증후군 발병 위험이 약 1.8배 더 높았다. 50세 미만 그룹에서는 비타민D 결핍으로 인한 손목터널증후군 위험이 약 5배 이상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비타민D 농도가 낮을수록 손목터널증후군이 더 이른 나이에 발병한다는 결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은 연구팀은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후속 연구를 진행했다. 이에 손목터널증후군 수술을 받은 환자 52명의 손목 내 결체조직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손목터널증후군 증상을 오래 앓았거나 신경 손상이 심한 환자일수록 결체조직 혈관내벽세포의 비타민D 수용체가 증가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비타민D가 부족한 경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용체의 상향조절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는 혈관내벽세포와 결체조직의 증식을 유발함으로써 결국은 터널이 비좁아져 손목터널증후군의 발병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기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진행된 연구에서는 부족한 비타민D를 보충해주면 손목터널을 넓혀주는 수술 후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연구팀은 수술 전 비타민D 수치를 확인한 뒤 비타민D가 결핍된 환자를 대상으로 6개월간의 보충제 치료를 통해 결핍상태를 교정했는데, 수치가 회복된 그룹은 손목터널증후군의 수술 후 결과를 평가하는 ‘상지 근골격계 기능장애 평가도구(DASH)’에서 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공현식 교수는 “이번에 발표된 연구들은 상지의 대표적인 말초신경질환인 손목터널증후군과 비타민D의 연관성을 다방면으로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비타민D는 뼈나 근육뿐 아니라 신경의 건강을 지키는데도 도움이 되는 만큼, 음식과 일조량으로 충분히 공급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영양제를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성남=문민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