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시론] 만세일계의 일본과 민주공화국의 한국

최근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을 종료키로 한 사건으로 한국과 일본, 미국에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런 시기에 다시 관심의 두게 하는 책이 루스 베네딕트가 쓴 ‘국화와 칼’이다. 미국 문화인류학자 루스 베네딕트는 제2차 세계대전이 막바지에 접어든 1944년 6월 미 국무부의 위촉으로 일본 문화의 틀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연구 결과물을 담은 책이 1946년 발간한 ‘국화와칼’이다. 베네딕트는 첫머리에서 “일본인은 미국이 지금까지 전력을 기울여 싸운 적 가운데 가장 낯선 적이었다”고 했다.

‘민중의 소리’ 이완배 기자는 이 책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일본인은 최고로 싸움을 좋아하면서도 얌전하고, 군국주의적이면서도 탐미적이고, 불손하면서도 예의 바르고, 완고하면서도 적응력이 있고, 유순하면서도 귀찮게 시달림을 받으면 분개하고, 충실하면서도 불충실하고, 용감하면서도 겁쟁이이고, 보수적이면서도 새로운 것을 즐겨 받아들인다.”라며 일본의 이중성을 강조하였다. 일본의 이런 이중성은 왜 탄생한 것일까? 베네딕트는 그 이유를 “일본인들이 각자가 알맞은 위치를 갖는다(take one’s proper station)는 명제를 너무나 중시하기에 생긴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베네딕트에 따르면 일본은 궁극적으로 사회 구성원들 모두가 각자의 알맞은 위치를 지켜야 한다고 굳게 믿는다. 그래야 평화가 깨지지 않는다. 그래서 각자 알맞은 위치를 지키는 것은 일종의 우주의 질서다. 천민은 천민의 위치에서, 사무라이는 사무라이의 위치에서, 농민은 농민의 위치에서 절대로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왕조가 한 번도 바뀐 적이 없다. 이른바 만세일계(萬世一系), 일본의 왕통은 영원히 같은 혈통이 계승한다는 뜻이다. 아무리 사무라이의 권력이 강해도 그들은 왕이 되지 못했다. 그게 사무라이로서 지켜야 할 각자의 위치였기 때문이다. 쿠데타로 집권한 사무라이들이 왕이 되지 못하고 쇼군(將軍)이라는 이상한 직책으로, 막부(幕府)라는 이상한 정권 시스템을 운영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렇다면 일본이 왜 전쟁 이후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에 진심으로 참회하지 않았는지도 이해가 된다. 그들은 ‘우리가 미국에 졌지 한국에 진 게 아니다’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일본은 지금도 미국이 최상위 국가, 일본이 그다음, 한국이나 다른 아시아 국가들은 그 아랫것이라고 믿는다.

우리는 일본과 살아온 역사가 다르다. 민중들의 저항으로 역사를 바꾸었고, 새로운 시대를 시작한 민주공화국인 대한민국은 민중들에 의해서 시작하였다. 그래서 시끄럽기도 하고 다양한 저항을 보인다. 이것이 민주주의이다. 그런 의미로 대한민국은 일본보다 민주주의 지수가 높은 것이다. 대한민국 헌법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이것이 진정한 민주주의의 정신이다. 그러기에 우리 미래의 세대들에게 이번 기회로 역사의식과 민주시민 의식을 교육하여 우리가 걸어온 민주주의를 이루어 온 역사에 자부심을 느끼도록 하여야 한다. 일본에 대한 비판에서 이제 우리가 걸어온 역사로 나아가서 미래의 역사를 만들어 가는 출발이 되어야 한다.

안해용 경기도교육청 학생위기지원단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