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찍 태어난 신생아 가운데 키가 작을수록 출생 후 만성폐질환 발생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정영화ㆍ최창원 교수팀은 한국신생아네트워크 데이터를 활용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3년부터 2015년 사이 태어난 재태연령 23주~31주의 극소저체중아(출생체중 1천500g 미만) 4천662명을 대상으로 출생 시 체중ㆍ신장(키)과 만성폐질환 발생 위험 간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다변량 분석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갖춘 조산아를 최종 4천266명으로 압축했다.
분석 결과, 출생 시 신장이 작을수록 출생 후 만성폐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같은 현상은 29주 이전에 태어난 매우 미성숙한 조산아에게 더욱 두드러졌다.
조산아 만성폐질환은 ‘기관지폐이형성증’이라고 불리며 호흡곤란 증세가 나타날 경우 출생 후 인공호흡기 또는 산소치료를 받아야 한다.
최창원 교수는 “태반의 문제, 산모의 고혈압, 태아 자체의 문제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태아성장지연이 발생할 수 있는데, 산모의 컨디션을 조절하고 태아의 성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적절한 시기에 분만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 “조산아 가운데 키가 작게 태어난 아이들은 만성폐질환의 발생위험이 높아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치료받는 기간이 늘어날 수 있다”며 “태아의 성장지연으로 조산을 해야 한다면 집중적인 인공호흡기 치료를 할 수 있는 인력과 장비가 갖춰진 의료기관에서 분만할 것을 권장한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것으로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최신호에 개제됐다. 성남=문민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