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차여성병원 배종우 소아청소년과 교수팀이 지난 30년간 국내에서 발생한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에 폐 표면 활성제 치료가 미숙아 생존율에 기여했다는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은 임신 37주 미만에 태어난 미숙아의 폐 표면 활성제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미숙아 초기 사망 원인의 35%를 차지하는 질환 중 하나다.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에 사용하는 폐 표면 활성제 치료법은 폐 표면 활성제 약물을 기도관을 통해 폐 표면에 직접 닿게 해 지속적으로 폐를 퍼지게 하는 치료법이다.
배 교수팀은 1991년부터 2017년까지 출생체중 1천500g 미만인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생존율을 비교ㆍ분석했다. 그 결과, 1980년대 후반 42.7%에 불과했던 생존율이 폐 표면 활성제 치료 도입 이후 1990년 초반 51.3%, 2017년 85.8%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입 초기인 1991년에 비해 2010년에는 폐 표면 활성제 치료를 하는 병원 4.5배 늘었고, 환아 수도 52.7배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배 교수는 “폐 표면 활성제 치료가 1991년 도입된 이후 장비와 약제, 제도 등 개선으로, 신생아 호흡증후군 생존율 증가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동물 폐에서 축출한 제제 사용의 한계를 극복해 사람의 폐 표면 활성제와 같은 치료제를 차메디텍과 공동 개발 중에 있어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치료를 보다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성남=문민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