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앞에 먼지 떠다니는 것 처럼 보이면 ‘비문증(날파리증)’ 의심해야

(의학) 눈 앞에 먼지 떠다니는 것 처럼 보이면 ‘비문증(날파리증)’ 의심해야

맑은 날 하늘을 쳐다보거나 밝은 바탕의 벽을 보면, 먼지같이 작은 것들이 눈앞에서 왔다갔다 떠다니는 현상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 눈에 무언가 들어갔다고 생각하고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지만, ‘비문증(날파리증)’인 경우가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비문증은 눈 속의 물, 즉 유리체 내에서 떠다니는 부유물이 눈으로 들어온 빛에 의해 그림자가 져서 발생하는 증상이다.

부유물은 유리체 섬유조직에 변성이 일어나면서 생기거나, 유리체에서 시신경과 단단히 붙어있는 부분이 떨어지면서 발생한다. 이 두가지 부유물로 인한 비분증의 경우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생리적 비문증으로 시력저하를 일으키진 않는다. 다만, 안구 내 염증(포도막염), 망막 열공(구멍이 생긴 상태) 및 박리, 안구내출혈, 외상 등으로 비분증이 발생하는 경우는 시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어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갑자기 부유물이 선명해진 경우, 부유물의 숫자가 많은 경우, 번쩍임 등의 시력 증상이 동반된 경우에는 전문의를 찾아가 진료를 받아야 한다.

최근에는 수술기법이 좋아지고 합병증 발생률이 떨어져서 백내장 수술 등 안과수술 시 동시에 비문증 치료를 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한재룡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안과 교수는 “비문증은 증상이 심하지 않을 경우 대부분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나 원인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치료가 필요하다”며 “심한 비문증은 약물치료, 레이저치료, 수술적 치료 등이 시도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비문증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은 유리체절제술 등의 수술적 치료지만 백내장 등이 있는 경우 수술 후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충분한 진료 및 상담 후 치료를 결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평소 비문증을 앓고 있다면 유리체 변성을 일으킬 수 있는 눈을 자주 비비는 행위는 피해야 한다. 눈 외상 역시 주의해야 하기 때문에 보호용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착용해야 한다. 전신적 탈수도 유리체 내 수분을 감소시켜 부유물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물을 많이 마셔 수분공급을 충분히 해주고 과도한 음주는 피한다.

한 교수는 “비문증은 자연스러운 노화 과정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진행하는 경우 유리체 변성이 시신경(망막)에 악영향을 줘서 시신경조직이 찢어지고 떨어지는 망막박리를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라며 “건강한 생활습관, 눈에 좋은 음식물 섭취 및 정기적 안과 검진 등으로 눈 건강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송시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