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천·송탄취수장 폐지 등 요구
안성시의회가 안성휴게소 명칭 변경을 요구하는 평택시와 일부 정치인들을 규탄하고 유천ㆍ송탄 취수장 폐쇄를 요구하고 나섰다.
안성시의회는 최근 제181회 안성시의회 제3차 본회의를 열고 안성휴게소 명칭 변경 반대와 유천ㆍ송탄 취수장 폐지 촉구 결의문을 채택했다고 2일 밝혔다.
시의회는 결의문을 통해 안성휴게소 명칭변경 시도 즉각 중단, 유천ㆍ송탄 취수장 전면 폐쇄 이행, 평택시는 갈등을 조장하는 망언을 금지하고 상생발전에 노력하라 등 4개 항을 촉구했다.
시의회는 “40여 년간 안성시민의 양보와 인내심에 놀부심보로만 응답하는 평택시의 처사에 억울하고 야속한 마음 금할 길이 없다”며 “평택시의 땅 따먹기 놀음을 삼천리 방방곡곡에 알리고, 이러한 사태를 촉발한 평택시와 평택시의회 시의원, 경기도의회 평택지역구 도의원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특히 시의회는 “1979년 설치한 유천ㆍ송탄 취수장으로 인해 안성지역 공도읍, 미양, 대덕, 서운, 원곡, 양성면 일대 89.07㎢에 공장 설립이 제한되고, 경기ㆍ충남 산업단지가 백지화되는 등 안성시 발전의 족쇄로 굳어졌다”고 강조했다. 이어 “1983년 안성 공도 소사리 2.09㎢ 토지와 원곡면 용이리, 죽백리, 청룡리, 월곡리 14.51㎢ 토지 등 모두 7천615명 주민의 토지 16.60㎢를 강제로 빼앗겼다”고 주장했다.
시의회는 “2014년 11월 평택시 행정사무감사 자치행정위원회에서 유천취수장을 해제하는 대신 안성지역 공도ㆍ원곡 땅을 더 내놓으라는 시의원의 발언도 있었다”며 “안성시와 평택시는 안성천 한 우물을 수천년 동안 나눠 마셔온 이웃사촌으로, 혼자 잘 살려는 이웃사촌의 발버둥은 그칠 줄 모른다”고 규탄했다.
시의회는 또 2017년 공도읍 승두리 안성IC 명칭을 평택ㆍ안성IC로 변경하자는 시의원의 발언에 이어 올해 6월 평택시 땅이 일부 포함됐다는 이유로 평택지역구 도의원이 경부고속도로 하행선 안성휴게소의 명칭변경을 요구했다고 주장했다.
안성=박석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