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네이버 데이터센터 유치에 나서면서 유치 효과에 대한 찬·반 논란이 일고있다.
23일 시 정보화담당관실에 따르면 국내 최대 인터넷 기업 네이버 데이터센터의 송도국제도시 유치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네이버 데이터센터는 서버·네트워크·스토리지 등 IT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장비를 한 건물 안에 모아 24시간, 365일 운영하고 통합 관리하는 시설이다.
시는 IT 관련 앵커시설인 네이버 데이터센터의 인천 유치는 새로운 먹거리 산업인 바이오·스마트시티 산업에도 시너지가 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재연 시 데이터혁신담당관은 “데이터센터 유치는 새로운 IT 관련 생태계를 인천에 조성하는 마중 물이 될 것”이라며 “그동안 추진해온 스마트시티·바이오 산업과도 연계가 가능해져 시너지도 크다”라며 유치 효과를 강조했다.
우선 인천이 구축하고 있는 송도·청라국제도시에서의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 사업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이 예상된다.
인천경제청은 한 통신 대기업과 송도·청라·영종 등 전체 경제자유구역에 5G 자율주행을 적용을 준비 중이다.
여의도 면적의 45배에 달하는 경자구역에 데이터를 관리·분석하는 데이터허브를 구축하기로 했다.
여기에 국내 1위 인터넷 기업의 데이터 센터를 유치하면, 5G 자율주행 데이터 허브 등과 함께 IT 도시로서의 후광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2030년까지 40조원 투자 의사를 밝힌 셀트리온과 함께 ‘바이오 빅데이터’ 센터 구축 논의도 탄력을 받을 수 있다.
바이오 빅데이터 센터 구축은 정부가 ‘60~70년대 경제 개발 시절 경부고속도로 건설과 다를 바 없다’고 비유할 정도로 바이오산업의 핵심이다.
하지만, 인천경제청 내부에서는 민원과 함께 경제적 파급효과도 미미할 것이라며 반대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네이버 데이터센터는 종전에 용인시에 들어서기로 했었지만, 지역 주민들이 전자파 위험을 이유로 반대하면서 무산됐다.
인천 송도에 유치 시 주민들의 민원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센터 유치에 따른 수백명 고용과 연간 100억원 이상의 세수 효과도 과장됐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다른 지역에서 민원 문제로 유치에 실패했는데 인천도 민원이 거셀 것”이라며 “경제적 효과도 생각보다 크지 않아, 민원을 설득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인천의 IT 산업 관련 산업은 하나금융그룹의 통합데이터 센터 유치로 첫 발걸음을 내딛었지만, 구글이 참여하는 G-CIty 프로젝트는 무산되는 등 답보 상태다.
주재홍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