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해외 관광객 방문수 급증
2회 연속 한국대표 ‘100대 관광지’
일자리 창출·지역경제 활성화 견인
광명동굴이 유료개장 이후 4년 만인 지난달 28일 내외국인 유료누적 입장객수 500만 명을 돌파하면서 글로벌 관광지로 거듭나고 있다.
지난 2015년 4월 유료화 개장 이후 2016년 2월 100만 명 돌파를 시작으로 매년 1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한 셈이다.
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한국을 대표하는 100대 관광지’에 2017년, 2019년 2회 연속 선정되는 등 성과가 눈에 띈다.
11일 광명시에 따르면 광명동굴은 지난해 유료관광객 116만 여명과, 세외수입 112억 원, 403개 일자리를 각각 창출했으며, 올해 유료관광객 120만 명, 세외수입 120억 원, 일자리 400개 이상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폐광의 기적’으로 불리는 광명동굴은 일제 강점기인 1912년 개발돼 금ㆍ은ㆍ동ㆍ아연을 채굴하던 곳으로 1972년 폐광된 이후 새우젓 저장고로 쓰이던 것을 2011년 시가 매입해 문화관광명소로 개발했다.
시는 그동안 동굴이라는 공간적 차별성과 희귀성을 문화예술 콘텐츠와 결합해 새로운 창조문화를 만들어 왔다.
지난 2013년 6월 다양한 문화예술 행사가 펼쳐지는 350석 규모의 동굴예술의전당 개관을 시작으로 광명동굴은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서의 기틀을 다진데 이어 지난 2015년에는 194m의 긴 터널에 와인동굴을 오픈해 대한민국에서 생산되는 국산 와인을 전시·판매하고 있다.
특히 시는 지난 2017년부터 전국 시·군의 브랜드 농ㆍ특산물과 관내 농산물 생산판매업체, 소상공업체, 창업예정 기업 및 시민 동아리에서 생산하는 제품을 판매하는 농·특산물 상생장터를 운영하는 등 도농상생을 도모하고 있다.
아울러 광명동굴 주변 가학동 일원에 약 56만㎡ 규모로 관광, 쇼핑, 주거, 문화가 복합된 도시개발 사업도 추진하고 있으며, 올해 12월까지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및 법인을 설립하고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광명동굴이 글로벌 관광지로 우뚝 설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지원을 해주신 시민 여러분들과 방문객들에게 감사드린다”며 “동굴 안팎의 편의시설과 첨단기술 융복합 관광 콘텐츠 개발을 통해 더욱 많은 국내외 관광객이 광명동굴을 방문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광명=김용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