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소비세 환원으로 각종 부대비용 증가 원
호황을 누리던 국내 골프장이 2011년 이후 8년 만에 내장객 감소를 보이며 하락세에 접어들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는 15일 발간한 ‘레저백서 2019’를 통해 지난해 국내 골프장 이용객 수가 3천584만6천명으로 집계돼 2017년 3천625만2천명보다 1.1% 줄었다고 밝혔다.
국내 골프장 내장객은 2007년 2천만 명을 돌파한 이후 2010년 수도권 이외 지역 회원제 골프장에 감면해주던 개별소비세 환원으로 잠시 줄어든 것을 제외하고는 줄곧 늘어났다.
2011년 2천600만명을 넘어섰고 이후에도 해마다 3~8%씩 늘어나는 증가세가 이어졌지만 지난해를 기점으로 한풀 꺾였다. 골프 인구의 감소와 골프장 이용료 상승에 따른 경제적 부담 때문이다.
특히, 그린피와 각종 부대 비용이 많이 드는 회원제 골프장 내장객이 많이 줄어든 것이 전체 골프장 내장객 감소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회원제 골프장 내장객은 2017년 1천618만9천명에서 지난해 1천475만명으로 8.9% 줄었다.
그나마 공급이 늘어난 퍼블릭 골프장 내장객이 2017년 1천831만명에서 1천931만명으로 5.4% 증가해 전체 내장객 감소를 완화했다.
레저산업연구소는 2015년 399만명에 이르렀던 골프 인구가 지난해 366만명으로 줄어드는 등 골프 열기가 예전만 못하다고 설명했다.
서천범 소장은 “골프붐이 진정됐고 그린피가 3~4%나 인상돼 이용객수 감소폭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수익성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인력, 비용 등 구조조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광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