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비평가협회 각본상 수상에 빛나는 풍자가 아만도 이아누치의 영화 <스탈린이 죽었다!>가 오는 18일 국내 극장가에 상륙한다.
이야기의 시작은 구 소련의 철혈 독재자 스탈린의 사망 직후인 1953년부터 시작한다. 스탈린 사후 후계구도가 마련되지 않자 니키타 흐루쇼프(스티브 부세미)와 라브렌티 베리야(사이먼 러셀 빌) 사이에 발생한 권력 쟁탈을 익살맞게 그려냈다. 여기서 주목할 인물은 흐루쇼프다. 과거 국내 역사책에 표기된 ‘흐루시초프’라는 이름이 더 익숙한 그는 스탈린 사후 시점에서 제1서기로 선출된 인물로 권력투쟁에서 승리해 구소련의 정점에 서게 되며 나중에는 스탈린을 비판하며 냉전 체제를 깨고자 노력했다. 그의 경쟁자로 등장하는 베리야는 스탈린 집권 당시 비밀경찰국장, 조지아 공산당 제1서기 등을 거쳐 스탈린 사후 권력 독점을 꿈꾸는 이다.
이번 영화는 이들의 권력 투쟁을 피가 튀기거나 총알이 난무하는 속에서도 영국식 익살극처럼 유치한 싸움, 유머스럽게 각색된 상황으로 묘사하며 분위기를 가볍게 한다. 그 동안 공산권 국가 내 권력 쟁탈전을 암울하고 잔혹하게 그려낸 기존 영화들과 대조되는 부분이다. 하지만 그 안에서도 베리야가 게오르기 말렌코프(제프리 탬버) 부총리를 꼭두각시 삼아 공산당을 주도하려 하는 점, 그리고 실제 역사에서도 그가 공공연히 자신이 스탈린을 독살했다고 떠벌리고 다닌 점을 엮어서 보면 마냥 가볍게만 볼 수 없을 것이다.
이번에 메가폰을 잡은 아만도 이아누치는 지난 1990년 TV 프로그램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