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이 좀처럼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물론 대학졸업 시즌 등 계절적 영향과 겹친 일시적 영향도 있겠지만 대학졸업과 동시에 구직자로 전락하는 현상이 거의 고착화 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청년실업문제는 단순한 경제적 문제가 아닌 본격적인 저출산 고령화 시대의 도래에 따라 지속가능한 국가경쟁력 확보와 직결된 구조적 문제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공식적인 실업통계에 잡히지 않는 구직단념자이다. 오늘도 노량진에서 컵밥으로 끼니를 때우면서 청춘을 불사르고 있는 소위 공시족들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물론 직업 안정성 등 공공부문의 직업 매력도가 큰 데도 기인하겠지만 근본적 원인은 민간부문에서 좋은 일자리를 충분히 만들어내지 못하는 것이 근본적 원인일 것이다.
일각에서는 청년 실업문제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를 중소기업 생산현장의 빈 일자리가 많아도 청년들이 취업을 기피하는 소위 인력수급 미스매치에서 찾곤 한다.
물론 부분적으로 타당하고 청년층의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 개선노력도 당연히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한자녀세대로 대변되는 청년층의 성장환경이나 의식구조 등을 감안할 때보다 질 좋은 일자리 다시 말해 청년층이 가고 싶은 직장을 만들어내는 노력이 근본적 해답일 것이다.
특히 현재의 청년층은 기본적으로 조직공동체 가치에의 헌신, 다시 말해 한 직장에서 뼈를 묻고 조직의 발전과 개인의 성취를 동일시하며 잦은 야근이나 주말근무, 회식 등을 당연시하던 기성세대와는 가치관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시대의 흐름도 더 이상 평생직장 또는 평생직업의 개념 자체마저 사라져가고 있고, 최근 일가정 양립이 강조되고 있는 것처럼 개인의 여가나 프라이버시에 대한 욕구를 인정하지 않고는 인력 채용 자체가 어려울 것이다.
청년층이 지방 특히 교통여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지방 제조업 중심의 산업단지 등을 기피하는 현상도 이와 무관치 않다.
물론 창업을 통한 신규 일자리 창출도 필요하겠지만 기존 기업의 급여 외에 정주여건, 나아가 일가정 양립과 연계된 고용환경 개선 및 기업문화 혁신 등에도 중점을 둬야 할 것이다. 공공부문은 선도적 역할은 할 수 있겠지만 무한정 자리를 늘리는 데는 재원부담 등으로 한계가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근본적으로는 대기업의 성장잠재력이 한계에 달한 지금, 민간부문 그중에서도 4차 산업혁명 시대 도래 등 불확실한 미래 경제환경 변화에 유연하고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는 지속성장 가능한 작지만 강한 글로벌 강소기업을 발굴하고 키워내는 것이 어찌 보면 당연하지만 근본적인 해답일 것이다.
물론 이들 청년이 서로 가고 싶어하는 기업들을 많이 만들기 위한 우호적 창업 및 성장환경 조성을 비롯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에 정부의 역할이 중요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홍진동 경기중기청 창업성장지원과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