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실업자 외환위기 이후 최다 수준으로 늘었다

반년 넘게 일을 구하지 못한 장기실업자가 외환위기 이후 최다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거시경제 지표도 악화일로를 걷고 있어 고용상황은 쉽게 개선되기 힘들 전망이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경제활동인구조사 분석 결과 구직기간이 6개월 이상인 ‘장기실업자’는 올해 1∼9월 평균 15만 2천 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만 명(6.9%) 늘었다.

 

1∼9월 기준 장기실업자 수는 현재와 같은 기준으로 통계를 작성한 1999년 6월 이후 올해가 가장 많았다. 외환위기의 충격이 남아 있던 2000년 1∼9월 장기실업자도 14만 2천 명으로 올해 1∼9월보다 적었다.

 

올해 1∼9월 실업자 수는 111만 7천 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만 1천 명 늘었다. 이 역시 비교 가능한 통계가 제공되는 최근 19년 사이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오랜 구직 활동에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이들이 취업을 포기하는 사례도 속출, 올해 1∼9월 구직단념자는 월평균 51만 6천 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만 1천 명(6.5%) 늘었다. 현재와 같은 기준으로 구직단념자 수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4년 이후 최대치다.

 

실업자를 위한 공적 지출 역시 기록적으로 늘었다. 한국고용정보원 통계를 분석하면 올 1∼9월 실업급여 지급액은 약 5조 377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작년 같은 기간에 지급한 실업급여(약 4조 929억 원)보다 약 9천448억 원(23.1%) 많았다.

 

이 같은 고용지표 악화는 한국경제의 구조적 어려움과 맞물려 악순환하고 있다.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분기보다 0.6%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전기와 비교한 실질 GDP 성장률은 올해 1분기에는 1.0%를 기록했지만 2분기 0.6%로 축소한 후 두 분기 연속 0%대에 머물렀다.

 

투자 부진으로 전년 동기대비 성장률은 3분기에 2.0%를 기록해 9년 만에 가장 낮았다. 올해 3분기 설비투자는 전분기보다 4.7% 줄어들며 2분기(-5.7%)에 이어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건설투자는 전분기 대비 6.4% 감소했다. 1998년 2분기 6.5% 줄어든 후 최근 20년여 사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일자리 상황이 좋지 않은 가운데 민간소비도 좀처럼 활기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전분기와 비교한 민간소비 증가율은 올해 1분기 0.7%, 2분기 0.3%, 3분기 0.6%로 세 분기 연속 1%를 밑돌았다. 지난해에는 민간소비 증가율이 1분기 0.5%, 2분기 1.0%, 3분기 0.8%, 4분기 1.0%였다.

 

구예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